제목 [시장분석] 에너지분야_미국 해상풍력 확대 정책 등으로 성장성 가속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장민환 조회수 40
용량 4.25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에너지분야_미국 해상풍력 확대 정책 등으로 성장성 가속화.pdf 4.2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8-21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63 

Ⅰ. 각국의 우호적인 정책 등으로 해상풍력 투자가 확대되면서
성장시대 도래
1.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초기 단계를 지나 향후 글로벌 수요 증가로 2025 년 이후 성장세 가속화 될 듯
2. IRA 등 미국 해상풍력 확대 정책 등으로 성장성 가속화
3. 북해 및 발트해 인접국들이 유럽 해상풍력 확대를 이끈다
4. 대만 해상풍력 설치 단계별로 진행하면서 성장성 가속화
5. 제 10 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으로 우리나라 해상풍력 성장성 가속화


Ⅱ. 해상풍력 시장규모 성장 수혜주
LS(006260): 수주 증가로 CAPA 증설 등 선순환 효과 가속화
SK 오션플랜트(100090): 하반기 해상풍력 신규수주 가속화
HD 현대일렉트릭(267260): 해상풍력으로 수주 및 신규 비즈니스 확대
씨에스베어링(297090): 매출 증가 및 성장성 가속화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초기 단계를 지나 향후 각국의 우호적인 정책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증가되면서 2025 년 이후 성장세 가속화 될 듯
해상풍력은 신재생에너지 중 가장 작은 면적에서 전력을 많이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무탄소 에너지원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높은 설계/설치 및 운전 비용, 높은 건설 및
전력망 연결 비용, 높은 수준의 기초건설 난이도 및 시스템 운용 등으로 인하여 성장이
미미하였다.
그러나 대형 터빈 등 기술발전 및 단일 프로젝트 규모의 증가로 해상풍력 발전단가가 하락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수요도 빠르게 증가하면서 2025 년 이후 성장세가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글로벌 해상풍력 시장은 향후 2032 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약 20% 수준으로 성장하여
2030 년에는 연간 신규 설치용량이 50GW 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미국 해상풍력의 경우 IRA 등으로 인하여 대형 해상풍력 프로젝트 착수 및 신규 프로젝트
개발 등으로 2030 년까지 30GW, 2050 년까지 110GW 의 해상풍력 발전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유럽 해상풍력의 경우 독일, 덴마크, 네덜란드, 벨기에 등 유럽 4 개국은 북해 연안 해상풍력
발전 역량을 2030 년까지 65GW, 2050 년까지 150GW 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영국은
현재 13GW 수준인 해상풍력을 2030 년 50GW 규모로 4 배 가까이 늘려 에너지자립과
탄소중립 목표에 접근한다는 계획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발트해 연안 8 개 회원국도 발트해 연안
풍력발전 역량을 현재 2.8GW 에서 2030 년에는 7 배 증가한 20GW 로 확대하고, 2050 년까지
풍력발전 역량을 최대 93GW 로 확대키로 합의하였다.
특히 대만 해상풍력의 경우 2025 년까지 누적 용량 5.6GW 를 달성한 이후 2026 년부터
2035 년까지 10 년 간 총 15GW 규모의 해상풍력을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의 경우 2030 년 12GW 목표달성을 위해 신안(8.2GW), 울산(1.4GW),
동남권(4.6GW), 제주(0.6GW), 인천(0.6GW) 등 대규모 프로젝트 중심의 해상풍력 보급 확대가
예상된다. 다수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발전사업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착공에
들어가면서 국내 해상풍력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스크린샷 2023-08-22 172023.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재고가 줄어드는 정유화학 5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에너지분야_미국 해상풍력 확대 정책 등으로 성장성 가속화 11도토리 장민환
626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전기전자분야_자율주행, MLCC, 패키지 주목 5도토리 장민환
626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중동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호주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헝가리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장민환
626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필리핀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폴란드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장민환
626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페루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키스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라과이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나마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이지훈
625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튀르키예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5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태국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5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탄자니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이지훈
625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크로아티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이지훈
625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쿠웨이트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5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쿠바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이지훈
625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콜롬비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5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코트디부아르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