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시장분석] 2023년 이스라엘 해외 비즈니스 전략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김민성 조회수 38
용량 8.89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시장분석] 2023년 이스라엘 해외 비즈니스 전략.pdf 8.8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6 

Ⅰ. 시장 평가 및 주요 이슈
1. 개요
2. ’23년 주요 이슈 및 전망
가. 연정 붕괴, 조기 총선 실시로 인한 새로운 연합정부 수립 예상
나. 한국-이스라엘 FTA 발효로 양 국간 교역 투자 확대 예상
다. 이-팔 분쟁, 이란 핵 합의 등 지정학적 불안 요인 증대
라. 이스라엘 벤처 투자 시장, 완만한 성장 추세 유지 전망

Ⅱ. 비즈니스 환경 분석
1. 정치/경제/산업/정책 환경
2. 시장분석
3. 한국과의 경제 교류 및 주요 경협 의제

Ⅲ. 진출전략
1. SWOT 분석 및 전략 도출
2. 주요 이슈·산업별 진출전략

 


 

’23년 이스라엘 경제, 약 3% 중반의 완만한 상승세 예상
’22년, 상반기 GDP 4.8% 성장, 하반기 역시 완만한 성장 예상
- 코로나 정상화, 서비스업‧요식업‧항공‧관광 등이 경기 회복에 기여
- 경상수지 흑자, 해외 투자 유입, 견고한 경제로 인해 이스라엘 셰켈(ILS) 강세
2023∼26년 실질 GDP 연평균 3.6% 성장 예상
- 첨단산업, 가스 수출, 내수 소비 회복 등으로 장기적 완만한 성장세 전망
- 연정 붕괴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 지정학적 리스크는 모니터링 필요

초유의 4차 총선 끝에 초당파적 연정이 수립되었으나, 결속 유지에 실패하여 자발적 의회 해산 결정
극우 유대 정당부터 아랍 정당에 이르기까지 네타냐후 전 총리 연임에 반대하는 정당들이 연정 구성(’21.6월)
- 연정 내 최대 당 Yesh Atid당(중도)의 Yair Lapid 당수와 Yamina(극우)당의 Naftali Bennett 당수가 번갈아 총리직을
맡는 조건으로 연정 합의 타결
- 연정 내 이념 차이로 민족 갈등, 정착촌, 종교 정책 등 내부 대립 발생 빈번
출범 1년 만에 연정 균열 및 야당과의 대치로 정치 교착 상태에 빠져 국정 운영이 불가하다고 판단
- 정책에 불만을 품은 소수 의원들의 연정 탈퇴로 연정 과반 의석 상실 사태 발생(120석 중 59석)
- 야당의 협조 없이는 법안 처리가 어려운 상황에서 야당의 반대로 주요 쟁점 법안 통과 무산
- ’22.6.30일 기한 서안지구 시민법 적용 특례법*의 처리 불발이 의회 해산의 결정적 계기로 작용
* 서안지구 정착촌 거주 이스라엘인의 시민권 유지에 관한 법안으로 5년 주기로 국회 결의를 통해 연장되어온 바, 기한 내 동 법안
처리가 불발될 경우 법률체계 급변으로 사회 혼란이 야기될 수 있어 법안 처리 기한을 연장시키고자 의회 해산을 선택

 

스크린샷 2023-08-22 13164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43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EU, 화장품 시장 및 규제 동향 11도토리 류지원
643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인도네시아 유망품목군 수출 확대 전략 11도토리 류지원
64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래차 시대,브라질 자동차부품 동향 및 진출 기회 11도토리 류지원
643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태양광 정책 시장, 우리 기회와 도전 과제 11도토리 류지원
64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탄소국경조정제 총론 7도토리 류지원
64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ESG 성과 분석 11도토리 류지원
64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전기차 부품시장 동향 및 진출전략 9도토리 류지원
642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해외지식재산센터 총론 11도토리 류지원
64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中 친환경산업 발전현황과 전망 9도토리 류지원
642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신뢰 기반 데이터 이동을 위한 시사점 7도토리 김민성
642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인도네시아 핀테크 시장동향 5도토리 김민성
642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中, 외국국가면제법 5도토리 김민성
64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서] 생성형 AI 규제 원칙에 관한 단상 5도토리 김민성
642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라오스 ICT 시장동향 7도토리 김민성
64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생체인식 시장동향 보고서 7도토리 김민성
642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이스라엘-하마스 분쟁의 국내경제 영향 5도토리 김민성
642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WTO (TBT) 글로벌 기술장벽 동향 5도토리 김민성
641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공모펀드 판매대가에 대한 고찰 7도토리 김민성
64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VR/AR 산업 및 생태계 시장 조사 9도토리 김민성
64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외 기후대응기금 활용 시사점 11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