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50
용량 2.86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pdf 2.8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기획의도 ★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68%인 49억 명이 대도시로 집중되는 거대도시화* 현상은 교통혼잡, 미세먼지, 물 부족 등 필연적인 사회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 중심 해결방안으로 글로벌 대도시들은 각자의 여건에 적합한 스마트 시티를 정의하고 구축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 (거대도시화 속도) ’70년대 30% → 2018년 55% → 2050년 68%(OECD 80%) 수준 도시 집중, 심각한 교통혼잡 및 주차난에 따른 천문학적 사회적 비용 발생 ** (사회 문제) ① 교통혼잡 : 차량등록 대수 2006년 9.3억 대 → 2015년 13억 대 / ② 미세먼지 기인 연간 사망자 수 : 2015년 880만 명 / ③ 온실가스 : 2009년 206억 톤 → 2017년 325억 톤 / ④ 고령화(65세 이상 비율) : 2015년 8.3% → 2060년 18.1% 등 ★ 스마트 시티는 IoT/ICT 기반 초연결성을 기반으로 사회 구성요소(건물, 이동수단, 교통체계, 사용자 등) 전체를 연계하는 지능형 서비스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총칭하며,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 초연결성 기반 스마트 시티의 특성과 모빌리티 | 구분 내용 모빌리티 측면 효율성 다양한 사회 기반 시설 등 공공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하고 고품질 시민 서비스 제공 이동수단을 이동지원 사회 기반 시설로 공유 이동 용이성 거주자 및 방문객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심 이동 보장을 위해, 다양한 이동수단(도보, 자전거, 차량, 대중교통 등)을 환승형으로 연계 이용 공유/구독 기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구현 지속 가능성 친환경적 고려를 기반으로 도시의 성장과 개발을 추진 환경친화적 이동수단 기반의 모빌리티 서비스 안전성 및 보안성 초연결성 기반 공공 안전 및 보안성을 향상 시키고, 의료적 응급 상황 및 재난 재해 등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준비 태세를 확보 초연결 정보 기반 자율주행 등 높은 보안성 요구되는 모빌리티 PD ISSUE REPORT JULY 2021 VOL 21-7 Focusing ISSUE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09 ★ 이와 같은 초연결성 기반의 스마트 시티 구축 및 고도화 과정은 구성원의 이동지원 효율화 및 안전/편의를 위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의 구축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이동 정황이나 신체적/인지적 특성까지 고려할 수 있는 ‘수요 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다. ★ 신개념 ‘수요 응답형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서비스가 단일 모빌리티 서비스로 통합된 서비스 복합체를 의미하며,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카쉐어링, 라이드 쉐어링, 바이크 쉐어링 등 ‘공유/구독형’ 이동서비스를 서로 연계,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 검색/예약/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미래형 이동서비스 의미한다. | 수요응답형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의 구성 | Layer 1 Mobility Integrators 대중교통, 쉐어링/구독 서비스 등 다양한 이동 체계를 연계, 사용자 이동 정황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관리 Moovel, Whim MaaS, GVH, SBB, Navigogo, TAM, Ubigo, Etc 서비스 공급자 Layer 2 Applications 대중교통, 카쉐어링, 라이드 헤일링/쉐어링, 차량구독 서비스, 이륜차/킥보드 쉐어링 등 통합 교통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교통 서비스 (카쉐어링) AVIS, (라이드 헤일링) UBER, (E2W 헤어링) GOGORO 등 서비스 콘텐츠 Layer 3 Service Platforms 실시간 이동수단 현황(위치, 상태 등) 및 사용자 이동 정황 등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이동 전략을 제시하며, 예약/결제/리워드 등 일련의 기능 구현 도구 휴대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휴대성 및 초연결성이 보장된 개인용 플랫폼+APP+유/무선 서비스 플랫폼 통신 인프라 등 Layer 4 Users 실시간 이동 정황을 정의할 수 있는 시계열 정보를 유지/제공하는 사용자 First/Last-Mile 사용자, 통근/통학, 항공 이용자, 레저/여행자 등 사용자 ★ 수요 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로는 대중교통을 시작으로 이동 거리나 목적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겠으나, 반경 30km 미만의 근거리 이동에 최적화되며, 앞서 정의한 초연결성 기반 스마트 시티의 특성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체계(이동수단+이동서비스)로는 전기이륜차,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이동취약자용 모빌리티 등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PM)가 주도하는 공유/구독 서비스가 될 것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36 성장동력산업 양자 인터넷 기술 3도토리 국준아
935 성장동력산업 중국과의 경제관계에 대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4 성장동력산업 최근 지급결제시장 변화와 카드사의 대응 방향 1도토리 조정희
933 성장동력산업 쇼피파이, 핀둬둬의 성장과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 1도토리 조정희
932 성장동력산업 라이다 센서용 콜로이드 양자점의 모양과 센서 성능 상관관계 규명 1도토리 국준아
931 성장동력산업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고객관리 전략 1도토리 조정희
930 성장동력산업 금리: 금통위, 8월 금리인상 의지 적극 피력 1도토리 조정희
929 성장동력산업 외환: 국내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연고점 경신 1도토리 조정희
928 성장동력산업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7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책 혼선 속 가격 상승세 지속 1도토리 조정희
926 성장동력산업 IPMI 서버용 펌웨어 보안 분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25 성장동력산업 수중에서 작동하는 무전원 센서 원천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4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집권 기간 미·중 전략 경쟁 및 한국의 선택 연구 7도토리 조정희
923 성장동력산업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3도토리 조정희
922 성장동력산업 가상공학을 활용한 수소자동차용 연료전지 촉매 설계 1도토리 국준아
921 성장동력산업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았다 1도토리 국준아
920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과 韓 산업에의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19 성장동력산업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1도토리 국준아
918 성장동력산업 투명망토 한 걸음 더 현실로…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7 성장동력산업 주택가격 변동이 실물·물가에 미치는 영향의 비대칭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