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 2050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68%인 49억 명이 대도시로 집중되는 거대도시화* 현상은 교통혼잡, 미세먼지, 물 부족 등 필연적인 사회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급변하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기술 중심 해결방안으로 글로벌 대도시들은 각자의 여건에 적합한 스마트 시티를 정의하고 구축하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 (거대도시화 속도) ’70년대 30% → 2018년 55% → 2050년 68%(OECD 80%) 수준 도시 집중, 심각한 교통혼잡 및 주차난에 따른 천문학적 사회적 비용 발생 ** (사회 문제) ① 교통혼잡 : 차량등록 대수 2006년 9.3억 대 → 2015년 13억 대 / ② 미세먼지 기인 연간 사망자 수 : 2015년 880만 명 / ③ 온실가스 : 2009년 206억 톤 → 2017년 325억 톤 / ④ 고령화(65세 이상 비율) : 2015년 8.3% → 2060년 18.1% 등 ★ 스마트 시티는 IoT/ICT 기반 초연결성을 기반으로 사회 구성요소(건물, 이동수단, 교통체계, 사용자 등) 전체를 연계하는 지능형 서비스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 등을 종합적으로 총칭하며,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갖는다. | 초연결성 기반 스마트 시티의 특성과 모빌리티 | 구분 내용 모빌리티 측면 효율성 다양한 사회 기반 시설 등 공공 리소스 사용을 최적화하고 고품질 시민 서비스 제공 이동수단을 이동지원 사회 기반 시설로 공유 이동 용이성 거주자 및 방문객의 안전하고 편리한 도심 이동 보장을 위해, 다양한 이동수단(도보, 자전거, 차량, 대중교통 등)을 환승형으로 연계 이용 공유/구독 기반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 구현 지속 가능성 친환경적 고려를 기반으로 도시의 성장과 개발을 추진 환경친화적 이동수단 기반의 모빌리티 서비스 안전성 및 보안성 초연결성 기반 공공 안전 및 보안성을 향상 시키고, 의료적 응급 상황 및 재난 재해 등에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준비 태세를 확보 초연결 정보 기반 자율주행 등 높은 보안성 요구되는 모빌리티 PD ISSUE REPORT JULY 2021 VOL 21-7 Focusing ISSUE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09 ★ 이와 같은 초연결성 기반의 스마트 시티 구축 및 고도화 과정은 구성원의 이동지원 효율화 및 안전/편의를 위한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의 구축 및 활용을 가능하게 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이동 정황이나 신체적/인지적 특성까지 고려할 수 있는 ‘수요 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로 발전될 수 있다. ★ 신개념 ‘수요 응답형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서비스가 단일 모빌리티 서비스로 통합된 서비스 복합체를 의미하며, 대중교통을 중심으로 카쉐어링, 라이드 쉐어링, 바이크 쉐어링 등 ‘공유/구독형’ 이동서비스를 서로 연계,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으로 검색/예약/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미래형 이동서비스 의미한다. | 수요응답형 통합 모빌리티 서비스의 구성 | Layer 1 Mobility Integrators 대중교통, 쉐어링/구독 서비스 등 다양한 이동 체계를 연계, 사용자 이동 정황에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운영/관리 Moovel, Whim MaaS, GVH, SBB, Navigogo, TAM, Ubigo, Etc 서비스 공급자 Layer 2 Applications 대중교통, 카쉐어링, 라이드 헤일링/쉐어링, 차량구독 서비스, 이륜차/킥보드 쉐어링 등 통합 교통 서비스에 활용 가능한 교통 서비스 (카쉐어링) AVIS, (라이드 헤일링) UBER, (E2W 헤어링) GOGORO 등 서비스 콘텐츠 Layer 3 Service Platforms 실시간 이동수단 현황(위치, 상태 등) 및 사용자 이동 정황 등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이동 전략을 제시하며, 예약/결제/리워드 등 일련의 기능 구현 도구 휴대폰 등 모바일 디바이스로서 휴대성 및 초연결성이 보장된 개인용 플랫폼+APP+유/무선 서비스 플랫폼 통신 인프라 등 Layer 4 Users 실시간 이동 정황을 정의할 수 있는 시계열 정보를 유지/제공하는 사용자 First/Last-Mile 사용자, 통근/통학, 항공 이용자, 레저/여행자 등 사용자 ★ 수요 응답형 모빌리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모빌리티 서비스로는 대중교통을 시작으로 이동 거리나 목적에 따라 다양화될 수 있겠으나, 반경 30km 미만의 근거리 이동에 최적화되며, 앞서 정의한 초연결성 기반 스마트 시티의 특성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모빌리티 체계(이동수단+이동서비스)로는 전기이륜차,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이동취약자용 모빌리티 등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PM)가 주도하는 공유/구독 서비스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