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PD ISSUE REPORT JULY 2021 VOL 21-7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l저자l윤석한 섬유PD / KEIT 전호승 책임연구원 / KEIT 화학재생 섬유 동향분석 ★ 유럽, 미국 등 선진국은 글로벌 패션기업을 중심으로 지속가능 중심의 친환경섬유 사용 확대 정책 가속화 - 우리나라 주요 교역국 및 수요기업, 브랜드 대부분이 재활용 소재 적용 의무사용 강제화 * 주요 경쟁 국가 및 기업들 소재 자원순환 기술 확보에 집중 - 재활용 소재 사용 의무규제 강화 정책과 수요기업의 의무사용 단계적 실시로 석유화학 원료중심의 섬유 산업은 새로운 원료 공급망 구축 경쟁 중 시사점 및 정책제안 ★ 탄소중립이 글로벌 신경제 질서로 대두되는 상황에서 탄소배출 저감 산업구조로 전환을 위한 중장기 기술 전략 마련 필요 ★ 재생원료 중심의 자원순환 산업구조로 전환을 위한 화학재생 상용화 기술 확보 시급 - 난분리 폐섬유와 복합재질 유색 플라스틱 원료를 활용한 화학재생 섬유 개발을 통한 섬유산업 순환경제 구축 필요 - 폐기되는 포장재, 화학 섬유의 상당 부분은 유색 복합재질 난분리 소재로 기존 재생공정으로는 재활용 불가능하며, 국내 관련 인프라 취약한 상황 → 품질과 경제성이 우수한 화학재생 기술 및 인프라 확보 필요 ★ 화학재생 기술을 통한 전주기적 지속가능한 자원순환 기반 마련 - 세계적 재활용 소재 사용 의무강화 상황에서 석유화학 중심 섬유패션산업의 새로운 원료 공급망 확보 필요 → 폐기물 해결과 동시에 지속가능 산업 구현 PD ISSUE REPORT JULY 2021 VOL 21-7 48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1. 개요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정의 ★ 폐플라스틱, 폐섬유의 고분자 구조를 화학적으로 분해(해중합)하여 단량체를 분리, 정제 회수하여 고품질의 신규 고분자를 합성하고 이를 다시 섬유로 재활용하는 기술로부터 얻어진 섬유 - 물리적 재활용(물질 재활용)은 공정이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소요비용이 낮지만, 공단량체 및 첨가제 등 이물질 제거가 어려워 고품질의 제품에 사용이 어려움 - 화학적 재활용 공정은 고분자의 해중합을 통해 포함된 이물 제거, 단량체 분리, 정제를 통한 회수로 원물질(Virgin)과 동일한 물성의 고품질 섬유 제조가 가능하고, 석유화학기반 대비 제조공정상에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 가능 | 그림 1. 자원순환 재생섬유 | 재생섬유 기술발전 방향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 심화 영향으로 탄소배출권 강화 - 섬유산업 분야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제적 규제 강화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재생섬유 적용 확대를 통한 자원순환 산업구조 전환 확산 | 그림 2. 재생섬유 기술발전 방향 | 무색, 투명 페트병 수거, 분리, 선별하여 MR로 제조한 원료를 사용하는 기술 유색, 불투명 폐플라스틱과 폐섬유(80% 이상 고함량)를 MR과 CR을 믹스하여 제조한 원료를 사용하는 기술 유색, 불투명, 복합 재질의 난분리 폐플라스틱과 폐섬유를 100% CR하여 제조한 원료를 사용하는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