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동향 및 향후 추진 방향 l저자l박영호 PD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경원 책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목적 ★ 디스플레이분야는중국의지속적인시장점유율확대로, LCD 기반보급형제품군뿐만아니라 OLED 시장에서도 국내 점유율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임.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패널 및 세트 업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통해 프리미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려 노력 중 임. 차세대 기술 중 대표적으로 양자점(Quantum dot, QD) 소재 및 이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있음. QD를 활용한 디스플레이는 기존 기술 대비 높은 색순도 및 넓은 색영역, 그리고 OLED 대비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활용 및 개발되기 시작하였음. 본 리포트는 이러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QD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구조, 기술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려 함 주요현황 ★ 삼성은 QD를 활용한 QLED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LG 전자는 최근 QD를 활용한 QNED(QD+Nanocell) TV를 출시하였음. 따라서 국내 두 세트업체 모두 QD를 활용한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판매 중 ★ 삼성 디스플레이는 Blue OLED 위 QD 컬러필터(QD color filter, QDCF)에 의한 색변환 과정을 통해 RGB를 구현하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2021년 말 혹은 2022년에 양산 판매할 계획 ★ 삼성전자는 최근 전기구동(electrol㎛inescence, EL) 방식의 QDEL 소자를 최근 두 편의 Nature지에 발표, 해당 기술에 대한 기대감을 고취시키고 있음 ★ 이러한 국내 메이저 업체 및 다수 협력 업체들의 연구 개발에 힘입어 QD 소재 및 소자 기술은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입증받고 있으며, 1세대 QD 필름 기술은 성공적인 양산을 통하여 주요 산업으로 자리를 잡음 ★ 하지만 QDCF의 성공적인 양산 판매를 위해 지속적인 QD 소재 개발이 필요하고, QDEL의 대면적 공정 기술에 대한 소재 및 소자, 장비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함 시사점 및 정책제안 ★ QD 필름 기술은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 중국, 대만 역시 이미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국내 제품 보다 낮은 가격수준에서 판매되어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음. QDCF는 기술적 우수성은 인정되나, 높은 생산 원가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QDEL 기술은 단위 소자 수준에서 잉크젯 프린팅을 통한 패널 기술로의 도약에 아직 이르지 못한 상태 ★ QDCF 기술은 다량의 QD 및 다층의 Blue OLED가 필요한 구조로, 기본적인 생산단가가 높음. 따라서 생산단가 하락을 유도할 수 있는 차세대 QD 및 기타 소재 혹은 신규 디스플레이 구조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이를 수반해야 저변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 QDEL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잉크젯 장비, 공정, QD 잉크 소재, 격벽 소재, 전하 수송층 소재 등 다양한 원천 기술 개발이 필요하여 패널 업체와 소재 및 장비 업체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함 ★ QDCF는 앞으로 5~10년 간, QDEL은 QDCF 이후 디스플레이 시장의 최종 우위를 판가름할 중요한 기술이며, 따라서 두 기술의 성공 여부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성에 큰 기준점이 될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두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