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2
용량 2.2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pdf 2.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2 
출처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페이지 수 : 22 

SUMMARY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동향 및 향후 추진 방향 l저자l박영호 PD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박경원 책임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목적 ★ 디스플레이분야는중국의지속적인시장점유율확대로, LCD 기반보급형제품군뿐만아니라 OLED 시장에서도 국내 점유율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임.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국내 패널 및 세트 업체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통해 프리미엄 시장에서 입지를 다지려 노력 중 임. 차세대 기술 중 대표적으로 양자점(Quantum dot, QD) 소재 및 이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있음. QD를 활용한 디스플레이는 기존 기술 대비 높은 색순도 및 넓은 색영역, 그리고 OLED 대비 우수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활용 및 개발되기 시작하였음. 본 리포트는 이러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소재인 QD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구조, 기술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려 함 주요현황 ★ 삼성은 QD를 활용한 QLED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LG 전자는 최근 QD를 활용한 QNED(QD+Nanocell) TV를 출시하였음. 따라서 국내 두 세트업체 모두 QD를 활용한 TV를 프리미엄 제품으로 판매 중 ★ 삼성 디스플레이는 Blue OLED 위 QD 컬러필터(QD color filter, QDCF)에 의한 색변환 과정을 통해 RGB를 구현하는 새로운 구조의 디스플레이를 개발하여 2021년 말 혹은 2022년에 양산 판매할 계획 ★ 삼성전자는 최근 전기구동(electrol㎛inescence, EL) 방식의 QDEL 소자를 최근 두 편의 Nature지에 발표, 해당 기술에 대한 기대감을 고취시키고 있음 ★ 이러한 국내 메이저 업체 및 다수 협력 업체들의 연구 개발에 힘입어 QD 소재 및 소자 기술은 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입증받고 있으며, 1세대 QD 필름 기술은 성공적인 양산을 통하여 주요 산업으로 자리를 잡음 ★ 하지만 QDCF의 성공적인 양산 판매를 위해 지속적인 QD 소재 개발이 필요하고, QDEL의 대면적 공정 기술에 대한 소재 및 소자, 장비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 개발이 필요함 시사점 및 정책제안 ★ QD 필름 기술은 기술적 난이도가 낮아 중국, 대만 역시 이미 시장에 진입하였으며, 국내 제품 보다 낮은 가격수준에서 판매되어 시장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음. QDCF는 기술적 우수성은 인정되나, 높은 생산 원가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QDEL 기술은 단위 소자 수준에서 잉크젯 프린팅을 통한 패널 기술로의 도약에 아직 이르지 못한 상태 ★ QDCF 기술은 다량의 QD 및 다층의 Blue OLED가 필요한 구조로, 기본적인 생산단가가 높음. 따라서 생산단가 하락을 유도할 수 있는 차세대 QD 및 기타 소재 혹은 신규 디스플레이 구조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이를 수반해야 저변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 QDEL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잉크젯 장비, 공정, QD 잉크 소재, 격벽 소재, 전하 수송층 소재 등 다양한 원천 기술 개발이 필요하여 패널 업체와 소재 및 장비 업체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함 ★ QDCF는 앞으로 5~10년 간, QDEL은 QDCF 이후 디스플레이 시장의 최종 우위를 판가름할 중요한 기술이며, 따라서 두 기술의 성공 여부가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의 지속성에 큰 기준점이 될 것으로 판단됨. 따라서 두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36 성장동력산업 양자 인터넷 기술 3도토리 국준아
935 성장동력산업 중국과의 경제관계에 대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934 성장동력산업 최근 지급결제시장 변화와 카드사의 대응 방향 1도토리 조정희
933 성장동력산업 쇼피파이, 핀둬둬의 성장과 이커머스 시장의 변화 1도토리 조정희
932 성장동력산업 라이다 센서용 콜로이드 양자점의 모양과 센서 성능 상관관계 규명 1도토리 국준아
931 성장동력산업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고객관리 전략 1도토리 조정희
930 성장동력산업 금리: 금통위, 8월 금리인상 의지 적극 피력 1도토리 조정희
929 성장동력산업 외환: 국내 코로나 확진자 급증으로 연고점 경신 1도토리 조정희
928 성장동력산업 인체에 무해한 비불소계 소수성 세라믹 코팅 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7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정책 혼선 속 가격 상승세 지속 1도토리 조정희
926 성장동력산업 IPMI 서버용 펌웨어 보안 분석 기술 1도토리 조정희
925 성장동력산업 수중에서 작동하는 무전원 센서 원천기술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24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집권 기간 미·중 전략 경쟁 및 한국의 선택 연구 7도토리 조정희
923 성장동력산업 최근 인플레이션 논쟁의 이론적 배경과 우리경제 내 현실화 가능성 점검 3도토리 조정희
922 성장동력산업 가상공학을 활용한 수소자동차용 연료전지 촉매 설계 1도토리 국준아
921 성장동력산업 전자기기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마리 찾았다 1도토리 국준아
920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탄소국경조정 메커니즘에 대한 통상법적 분석과 韓 산업에의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919 성장동력산업 접고 구겨도 되는 태양전지 시대를 연다 1도토리 국준아
918 성장동력산업 투명망토 한 걸음 더 현실로… 메타물질 대량 제조법 개발 1도토리 국준아
917 성장동력산업 주택가격 변동이 실물·물가에 미치는 영향의 비대칭성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