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95
용량 1.57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pdf 1.5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7-26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책연구원 
페이지 수 : 40 

[ 목 차 ]

Ⅰ. 연구배경 및 목적


Ⅱ.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 분석


Ⅲ. 과학기술의제별 협력 현황 분석


Ⅳ. 한·미 新 과학기술협력을 위한 대응방향

 


 

| 요 약 |2n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네 가지주요 과학기술 분야의 의제를 중심으로 양국의 과학기술협력 대응 방향을 모색l 미 바이든 행정부는 동맹국과의 협력을 강화하여 대중국 포위망을 넓히는 ‘고립 전략’을수립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한국은 국제사회 기여 확대와 정치·외교·산업·과학기술분야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추진l 한·미 정상회담(2021.5.21.)에서 논의한 주요 과학기술 분야 의제*와 협력을 위한 후속조치를분석하여 글로벌 기술 패권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한·미 과학기술협력 방향을 제언* 기후변화, 백신·보건, 기술안보, 미래기술 등n 한·미 정상회담 주요 과학기술 분야 협력에 대응하기 위한 협력 체계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l 한·미 정상회담 이전에는 분야별 위기 대응 전략이 추진되었으나 정상회담 이후 주요의제를 중심으로 한 후속 조치가 추진되고 있는 상황l 분야 간 복합적인 이슈가 산재하므로 분야 간·민관 간 협력 체계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n 미국이 한·미·일 협력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새로운 협력 생태계를 구축하는 전략이 필요l 최근 한국은 미국에 한·미·일 협력을 약속함에 따라 중국과의 관계 악화가 우려되므로새로운 협력 생태계 구축이 필요한 상황l 미·일 협력 관계에 참여 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공급망 포지셔닝 및 협력 생태계 구축전략 마련이 필요n 한국의 산업·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과학기술협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가치사슬·기술안보 이슈와 관련된 국내 현황 분석 및 국가핵심기술의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l 주요국들은 전략기술과 국가핵심기술을 지정하여 기술안보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구체성이 결여되어 안보에 위협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제기l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여 핵심 분야를 확대하고 국가핵심기술의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과제 1. 산업경쟁력 강화를 통한 전략적 파트너로서 위상 확보l 상향된 국별 온실가스 감축목표 목표치를 달성하고 주요국의 탄소국경조정세 도입에대응하기 위하여 기업에 저탄소 관련 연구개발 지원 및 탄소배출 규제를 강화l 백신을 수입하고 국내 바이오 대기업을 중심으로 백신 생산을 위한 한·미 기술협력이가속화되는 상황에서 백신 연구개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모색l 미국과 첨단제조 및 공급망 부문의 협력을 논의하기 전에 국내 산업의 첨단기술 관련공급망 관리를 위해 실태 분석 및 대응전략을 마련l 미래 먹거리의 선도적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첨단기술 연구개발 추진체계 개선 및 인프라 확충과제 2. 대미 협력과 인도-아세안 기반의 가치사슬 확대l 신남방정책을 활용한 인도-아세안 기반의 신시장 개척을 통해 새로운 과학기술협력및 글로벌 가치사슬 생태계를 구축l 인도-아세안 협력 시, 미국의 新공급망 전략에 대치하는 협력 체계가 구축될 수 있는상황을 고려하여 대미 협력 과학기술 분야와 인도-아세안 협력 과학기술 분야를 구분하여 운영과제 3. 과학기술외교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글로벌 과학기술협력 전문 인력 확보l 주요국과의 과학기술협력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과학기술 분야 전문가 파견 인원을확대하기 위해 과학기술 분야 전문 외무공무원 별도 임용 및 파견을 추진과제 4. 글로벌 기술 경쟁에 대응하는 과학기술협력 협의체 개선l 글로벌 기술 헤게모니 경쟁이 첨단과학기술을 넘어 정치·외교·산업·과학기술 등으로확장되고 있는 상황에서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등 관련 정책 의사결정 기구 또는조직의 역할을 실질화하기 위한 노력 필요l 범부처 협의체와의 연계를 기반으로 하는 민·관 협력채널 마련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08 성장동력산업 휴먼팩터 지능화의 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907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소기업 판로혁신 지원방안 1도토리 조정희
906 성장동력산업 혁신생태계 강화를 위한 경제자유구역 핵심전략산업 선정방안 1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국내 불소화학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위기에 대한 정책과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3D프린팅 산업의 가치사슬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제조용 로봇산업의 가치사슬 단계별 경쟁력 진단과 정책제언 1도토리 조정희
901 성장동력산업 반도체 소부장 산업현황 및 투자전략 1도토리 국준아
900 성장동력산업 퍼스널 모빌리티 플랫폼 핵심기술 개발 및 실증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EU 탄소감축 입법안(‘Fit for 55’)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98 성장동력산업 3D Printed Electronics(3DPE) 분야 국내외 기술동향 1도토리 국준아
897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의 상흔: 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1도토리 조정희
896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폐기물 이슈, 행동하는 기업들 1도토리 조정희
89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4) 1도토리 조정희
894 성장동력산업 신경자극 의료기기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93 성장동력산업 자원순환 화학재생 섬유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92 성장동력산업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선도 국가, 인도네시아 [인니21-1호] 1도토리 조정희
891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QD 소재 기술 현황 및 향후 추진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90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이후 중국 음악산업 신(新)업태 발전 연구 3도토리 조정희
889 성장동력산업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변화 분석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