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6
용량 1.37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pdf 1.3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페이지 수 : 60 

[ 목 차 ]

 

Ⅰ. 검토배경


Ⅱ. 자동화에 따른 경제 변화 

 

Ⅲ. AI, 로봇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Ⅳ. 주요국 AI 전략


Ⅴ. 일자리 미래를 위한 대응 방향 


Ⅵ. 결론 및 시사점 

 

 


 

검토배경 AI와 로봇 기술의 발전은 산업혁명 이후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파괴적 혁신을 촉발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AI와 로봇 기술은 여러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 경제적 변화를 증폭시킬 수 있는 강력한 잠재력을 보유 글로벌 프론티어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빠른 성장세를 기록 우리는 자동화와 AI의 활용 확대 등으로 미래에 어떤 일이 일어나게 될지 걱정할 게 아니라 어떤 일이 일어나야 하는지에 집중할 필요 그간 자동화의 물결은 일자리 창출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특정 분야의 경우 AI는 일자리 손실에 훨씬 더 파괴적일 가능성이 제기 하지만, 그중 일부는 우리가 아직 상상할 수 없는 분야에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 이로 인해, 일자리 손실과 전환, 일자리 창출 사이의 상호 작용결과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상황 이에 따라, 최근 AI와 로봇 기술을 주도하기 위해 국가 간 경쟁이 가속화되며, 주요국의 국가 핵심 아젠다로 부각 AI 기술이 일자리 미치는 영향의 범위는 얼마나 멀리, 얼마나 빠르게 발전되고 채택되는지에 따라 차이 우리나라도 AI의 경제적 기회를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국가전략을 수립하고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나 미래 일자리 대응에는 한계 존재 본 보고서에서는 AI와 로봇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보고 미래 일자리 대응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방향 2 ╺╺╺ Ⅱ 자동화에 따른 경제 변화 Ⅱ.1 주요 자동화 기술의 정의 AI와 로봇화, 디지털화는 동일한 제품과 서비스에 내장되어 있고 상호 연결되어 있어 각각의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서로 구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1) 자동화 기술 및 AI의 확산은 모바일 인터넷 연결과 스마트폰 및 노트북의 광범위한 사용,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경제 디지털화의 다양한 요소들에 기반 - 디지털화는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이며 AI의 일부 산업과 일자리에 잠재적 게임체인저로 간주 AI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환경을 분석하고 어느 정도 자율적으로 조치를 취하며 지능적인 행동을 보여주는 시스템 - AI 기반 시스템은 순전히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가상 세계(예 : 대화도우미, 이미지 분석소프트웨어, 검색엔진, 음성 및 얼굴 인식시스템)에서 작동하거나 하드웨어 장치 (예 : 첨단로봇, 자율주행차, 드론 및 사물인터넷 응용프로그램)에 내장 - 머신러닝에 필요한 AI의 세 가지 필수 요소 ▪ 대규모 데이터 풀에 대한 액세스 : 자동화는 단순히 영구적인 명령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도입된 규칙을 기반으로 하며, 머신러닝의 경우,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훈련하고 인간이 미리 설정한 목표를 제공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 풀에 의존 ▪ 생산공정의 생산성 또는 소비자를 위한 품질향상을 위해 AI를 내장시킬 수 있는 제품 및 서비스 ▪ 칩 성능 : 컴퓨터 성능 향상 및 데이터 가용성, 알고리즘의 발전으로 AI가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변모 AI와 자동화는 새로운 현상이 아니며 물리적 로봇은 꽤 오랫동안 제조에 활용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911 성장동력산업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910 성장동력산업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지원을 통한 환경오염 극복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909 성장동력산업 CMF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908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녹색 경제 1도토리 조정희
907 성장동력산업 국내 촉매 산업의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906 성장동력산업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술 이전 1도토리 조정희
905 성장동력산업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
904 성장동력산업 태국 저작권 월간 동향 6월호 1도토리 조정희
903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한국어 구어체 형태소 분석 및 개체명 인식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902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유통물류 기술 동향과 산업 전망 1도토리 국준아
901 성장동력산업 탄소배출권과 2050 LEDS의 기대효과 및 발전방안 1도토리 조정희
900 성장동력산업 주력가공장비용 핵심부품 기술동향 및 개발방향 1도토리 국준아
899 성장동력산업 헬스케어 서비타이제이션(Servitization) 기술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898 성장동력산업 친환경 라이오셀(Lyocell) 섬유 산업동향 3도토리 국준아
897 성장동력산업 디스플레이용 초소형 마이크로 LED 기술 동향 및 시장동향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95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94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93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92 성장동력산업 위기 속에서 엿본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능성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