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6
용량 131.01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pdf 131.0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농업 인력과 관련한 주요 관심사는 농가인구의 감소와 급격한 고령화, 그리고 일손 부족 문제다. 지난해부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고용허가제 및 계절근로자제를 통한 외국인 근로자의 입국이 지연·철회되면서 일손이 부족해지고 인건비 압박이 가중되고 있다. 2017년 이후 농림어업 취업자수가 증가하곤 있지만, 농가인구 감소 및 고령화와 일손부족 문제를 모두 해결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우리 농업에서 청년을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은 여전한 문제다. 이는 수치로도 여실히 드러난다. 농가인구의 고령화율은 2000년 21.7%에서 2019년 46.6%로 연평균 1.3%포인트 증가했고, 2030년에는 59.7%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농가인구 10명 중 6명이 65세 이상인 시대가 되는 것이다. 전체 농가인구수도 2000년 403만1000명에서 2030년 187만4000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농림어업 취업자수는 2017년 이후 약간 증가해 2025년에는 154만9000명이 될 것으로 예상 되지만 2030년에는 152만6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40세 미만 경영주가 있는 농가수는 2000년 9만1516가구에서 2019년 6859가구로 급격히 감소해 세대교체에 적신호가 켜졌다. 이에 정부는 청년농업인 육성, 귀농 지원, 내국인·외국인 농업 고용 인력 유입, 농업 기계화·스마트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농번기 일손부족과 청년부족 문제 등은 좀처럼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내국인 근로자들은 임금과 작업 여건 측면에서 농작업장보다 철거·건설 현장 등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농업부문 내국인 근로자의 부족은 외국인 근로자가 메우고 있는데, 현장에서는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가 이들의 대부분을 채우고 있다. 현실적으로 일손부족 문제는 농업현장에 내국인이 급격히 유입되거나 농업 기계화·스마트화가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 이상 해결되기 힘든 상황이다. 농업 기계화·스마트화는 일부 품목에서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밭작물의 기계화율은 약 60%에 머무르고 있어 여전히 사람 손이 필요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6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AI 소프트웨어 3도토리 국준아
87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탄소 감축을 위한 LNG 냉열 발전 재기화 기술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ESG와 금융의 공존 7도토리 조정희
872 성장동력산업 LTAF 도입을 위한 영국 FCA 제안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871 성장동력산업 선박·해양 프로세스 시스템 디지털 트윈 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엔지니어링 설계기술과 탄소저감 1도토리 국준아
86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가전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8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의 성장과 규제 1도토리 조정희
867 성장동력산업 주조산업의 최신 기술 활용 사례 1도토리 국준아
866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65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64 성장동력산업 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개시증거금 제도 시행에 대한 제언 1도토리 조정희
863 성장동력산업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862 성장동력산업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지원을 통한 환경오염 극복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861 성장동력산업 CMF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녹색 경제 1도토리 조정희
859 성장동력산업 국내 촉매 산업의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58 성장동력산업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술 이전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