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동 경제환경 분석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63
용량 393.97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동 경제환경 분석 및 시사점.pdf 393.9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7 
출처 : 민간연구원 
페이지 수 :

1. 중동의 사회 경제 개요


2. 정치 안정성과 규제 환경 및 교육 수준 비교


3. 시사점

 


 

 중동 주요 7개국의 2022년 경제규모는 한국의 1.5배 가량인 2.5조 달러로 세계경제의 2.5%
를 차지하고 있으며, 인구는 1억 1,317만 명으로 한국의 2.2배 수준
 경제규모는 사우디아라비아(1.1조 달러), 아랍에미리트(5,075억 달러), 이라크(2,704억 달러) 순
 인구는 이라크(4,450만 명), 사우디아라비아(3,641만 명), 요르단(1,129만 명), 아랍에미리트(944만 명) 순
 평균 연령은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카타르(각각 30.2세, 33.2세, 33.6세)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29.6세~32.4세)과 비슷하고 오만(28.9세)은 더 낮아 인도(27.9세)와 비슷
 1인당 GDP는 카타르(8.4만 달러), 아랍에미리트(5.4만 달러), 쿠웨이트(4.3만 달러), 사우디
아라비아(3.0만 달러) 순이며, 사우디아라비아가 한국(3.2만 달러)과 비슷(한국의 94% 수준)
 테러와 폭력 여부를 비롯한 정치 안정성은 1인당 GDP 면에서 중동 1위 국가인 카타르가 한국
보다 우위에 있고, 2위 아랍에미리트는 한국과 비슷
 쿠웨이트와 오만의 정치 안정성은 한국보다 다소 낮지만 ASEAN에서 정치 안정성이 상대적
으로 높은 베트남과 캄보디아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
 법치는 카타르, 아랍에미리트가 한국보다 다소 낮으며,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요르단
은 한국보다 낮고 ASEAN에서 법치가 상대적 우위에 있는 태국에 비해서는 다소 높은 수준
 규제 퀄리티는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가 한국보다 다소 낮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오만은 한국
보다 낮고 ASEAN에서 규제 퀄리티가 상대적으로 높은 인도네시아와 비슷
 교육 수준은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사우디아라비아, 오만이 인도네시아나 태국보다 양호
 이 같은 정치, 규제 환경, 교육 수준을 감안할 때 아랍에미리트는 진출을 검토해볼 만하며, 오만
과 사우디아라비아도 인도네시아나 태국보다는 양호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진출 검토 가능
 실제로 아랍에미리트는 외국인 직접투자 비율(명목 GDP 대비)이 2011년 이후 상승세에 있고,
2020년과 2021년에는 중동 7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
 오만도 외국인 직접투자 비율이 2017년부터 중동 7개국 중 1~2위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
 사우디아라비아는 2021년 외국인 직접투자 비율이 2011~2012년 수준으로 반등

스크린샷 2023-07-26 16120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30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3년 멕시코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박민혁
530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3년 말레이시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박민혁
530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3년 러시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박민혁
530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3년 라오스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박민혁
53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3년 동남아대양주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박민혁
5303 성장동력산업 中, 인공 지능 서비스 관리 조치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30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EU, 무선장비에 관한 지침 Directive 2104/53/EU 보완 규정 개정안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301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서버 에너지 효율 및 등급 최소 허용 값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300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美, 60 GHz 대역 비면허 FDS 장치 기술 규정 개정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99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美, 식기세척기 에너지효율 시험절차 개정 최종 규칙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98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美, 상업용 에어컨 및 열 펌프 시험절차 개정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9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개인 정보 자동 처리 협약 심층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2023년 상반기 태양광시장 분석 7도토리 조정희
52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2023년 인공지능 글로벌 트렌드 7도토리 조정희
52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中 반도체 전쟁에 따른 산업재편 및 영향 7도토리 조정희
52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3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3분기 전망 7도토리 조정희
52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 수출신용기관과 개발금융기관 동향 보고서 7도토리 조정희
52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美 금융시장의 위험요인 분석 7도토리 조정희
52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AI 활용 방안에 따른 리스크 분석 7도토리 조정희
52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탈탄소화 동향 분석 1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