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5
용량 150.43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pdf 150.43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임산물을 공급하는 것은 물론이며, 산림휴양, 맑은 물과 공기, 이산화탄소 흡수·저장, 야생동물의 서식지, 산지재해 방지, 생물다양성, 경관제공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숲이 없다면 우리의 환경은 삭막해지고 삶의 질도 크게 낮아 질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으며 이를 ‘공익기능’이라 한다. 공익기능 도 산림을 그냥 방치하는 것보다 적절히 관리할 때 더 높아진다. 모두가 산림의 편익을 함께 누리지만 사실 우리나라 산림의 67.1%는 개인이 소유하는 사유 림이다.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공익과 사익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산림 을 잘 관리하려면 산주들이 산림을 잘 가꾸도록 인센티브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산주의 과욕이 산림의 과잉 이용과 전용을 가져올 수 있기에 어느 정도 공적 규제를 갖추는 것은 필요하다. 어쨌든 산주들이 산림을 경영하여 적정한 이익을 얻는다면 ‘지속가능 한 산림경영’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임업의 현실은 녹록치 않다. 1978년 목재시장을 개방한 이후 목재시장은 수입목재가 지배하고 국산목재 자급률은 16%에 불과하다. 산림이 미성숙하여 원목 공급력을 갖추지 못했고 경쟁력도 낮기 때문이다.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임업의 수익성은 점차 저하되었다. 임령 30~40년의 입목을 매각하여도 산주가 받는 금액은 대개 1ha에 100만~300만 원 정도이다. 수확비용이 높기 때문이다. 수확비용이 높은 것은 임업 인프라가 부족하고 여전히 인력 의존도가 크기 때문이다. 그런데 수확 후 숲을 다시 조성하는 데 1ha당 9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된다. 숲가꾸기에도 적지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임업의 낮은 수익성을 이유로 높은 수준의 보조금을 지급하지만 그것이 산림경영에 기여하는 바는 크지 않다. 게다가 국산 임목은 대부분 펄프와 섬유판 제조의 원료로 쓰이기에 높은 값을 받지 못한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76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AI 소프트웨어 3도토리 국준아
875 성장동력산업 이차전지 음극재용 탄소나노소재 기술동향 및 전망 1도토리 국준아
874 성장동력산업 탄소 감축을 위한 LNG 냉열 발전 재기화 기술 1도토리 국준아
873 성장동력산업 ESG와 금융의 공존 7도토리 조정희
872 성장동력산업 LTAF 도입을 위한 영국 FCA 제안의 주요 내용 1도토리 조정희
871 성장동력산업 선박·해양 프로세스 시스템 디지털 트윈 개발 방향 1도토리 국준아
87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엔지니어링 설계기술과 탄소저감 1도토리 국준아
869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가전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8 성장동력산업 임베디드 금융(Embedded Finance)의 성장과 규제 1도토리 조정희
867 성장동력산업 주조산업의 최신 기술 활용 사례 1도토리 국준아
866 성장동력산업 가상자산 발행과 유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65 성장동력산업 극저온 냉동기 기술 및 시장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64 성장동력산업 비청산 장외파생상품거래 개시증거금 제도 시행에 대한 제언 1도토리 조정희
863 성장동력산업 신과학기술협력 방향: 한·미 정상회담 과학기술의제를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862 성장동력산업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지원을 통한 환경오염 극복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861 성장동력산업 CMF디자인 기술동향과 산업전망 1도토리 국준아
860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녹색 경제 1도토리 조정희
859 성장동력산업 국내 촉매 산업의 기술 동향 1도토리 국준아
858 성장동력산업 넷제로 달성을 위한 기술 이전 1도토리 조정희
857 성장동력산업 전력반도체 최신 기술 이슈 및 향후 전망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