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2023년 주요 비즈니스 분석 및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최민기 조회수 70
용량 640.65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2023년 주요 비즈니스 분석 및 동향.pdf 640.6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6-28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4 

2023년 하반기 13대 주력산업의 세계 수요는 친환경 및 고령화의 메가트렌드에 대응한 친환경차, 이차전지, 바이오헬스 부문은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 망되나, 주요국 고물가 및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러·우 전쟁 장기화 및 기 술패권 경쟁 확산 등의 대외 불확실성 지속으로 전반적인 수요 회복세는 제약될 것 으로 전망된다. 고사양 프리미엄 정보통신기기(고사양 노트북, 5G 폴더블폰 등)와 스마트 가전, OLED 패널 등 프리미엄 ICT 제품은 하반기 신제품 출시 등의 영향으 로 수요 확대가 예상되고,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따른 친환경, 탄소중립의 중요성 증대로 친환경 자동차, 에너지저장장치(ESS), 이차전지 등의 수요 역시 성장세를 유 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3년 하반기 국내 주력산업의 주요 수출국 수요는 글로벌 경기 회복세 미약으 로 미국, 유럽, 중국 등 주요 수출국에서 수입 수요가 둔화하거나 감소할 것으로 예상 된다. 대미수출은 자동차(이연 수요), 일반기계(인프라 투자 확대), 정보통신기기(프 리미엄 제품 수요 확대), 가전(소비심리 회복), 이차전지(전기차 판매 호조), 바이오헬 스(바이오시밀러 수요 증가) 등에서 증가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고금리·고물가 지속 등의 경기 불안으로 수요 회복 세가 미약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의 중간재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은 코로나 정책 완화로 점차 회복세를 보이면서 철강, 정유, 석유화학, 가전 등에서 5% 내외의 제한 적 수출 증가가 기대되나, 반도체, 디스플레이, 일반기계는 하반기에도 큰 폭의 수출 부진이 지속될 전망이다. 2023년 하반기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은 산업별,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으나, 주 요 수출시장의 수요 회복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거점 국가에서 의 현지 생산과 투자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동차의 경우 부품 공급망이 정상 화되면서 그동안 생산 차질로 인해 누적된 이연 수요 충족을 위해 대부분의 해외 공 장의 가동률이 상승할 전망이나, 중국 현지 생산은 러시아와 로컬업체의 경쟁력 상승 으로 판매 부진이 지속되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은 2023년 국내 건조 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국내 블록 제작 협력사의 생산 증대 어려움으로 인해 삼성중공 업과 대우조선해양의 중국 블록공장 생산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보통신 기기는 상반기 수요 감소의 영향으로 부진했던 국내 기업들의 스마트폰 및 부품 해외

 

스크린샷 2023-07-19 17032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1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유화학분야_ 中 환경 규제의 후폭풍 5도토리 김민성
615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과학 및 경제기술 정책 분석 7도토리 김민성
61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차세대 무선통신 산업 분석 5도토리 김민성
614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안보정책 분석 5도토리 김민성
614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분야_코로나 이후 바이오의약 산업 7도토리 김민성
614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주요국 의료기관 ESG동향 및 분석 11도토리 김민성
61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中 글로벌 제약 바이오 시장동향 11도토리 김민성
6144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유전자편집과 식품안전에 대한 보고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61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中 경제무역 분석 및 전망 5도토리 장민환
61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新에너지 차 관련 정책 5도토리 장민환
61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수출가공기제도 의의 및 활용 9도토리 장민환
61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산림전용방지규정 주요 내용 7도토리 장민환
613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미국 가뭄, 흑해곡물협정 종료 그리고 급등한 밀 가격 3도토리 장민환
613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캄보디아 시장 동향 7도토리 장민환
61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E-러닝 시장분석 7도토리 장민환
61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퇴직연금 개혁 및 시사 5도토리 장민환
6135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영국의 CDC 제도 시행 분석 3도토리 장민환
613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개념과 위험 요인 분석 7도토리 장민환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주요 비즈니스 분석 및 동향 5도토리 최민기
61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중국 기술기업 동향 및 빅테크의 역할 7도토리 최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