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국 선박 엔진 및 부품 시장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96
용량 52.6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국 선박 엔진 및 부품 시장 분석.pdf 52.6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선박용 엔진 및 부품

 

선박엔진은 선박의 항행을 위해 동력을 발생시키고 추진력을 만들어내는 장치이다. 선박엔진은 기본적으로 실린더, 피스톤, 커넥팅 로드, 크랭크샤프트, 플라이 휠, 흡배기 밸브 등을 포함한다.

 

<선박용 엔진 및 부품 HS Code>

상품명

HS Code

선박용 엔진

8408.10.00

선박용 엔진 부품

8409.99.10

 

 

선박엔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디젤 엔진 

디젤 엔진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선박 엔진이다. 열효율과 경제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기술의 성숙으로 인해 출발 및 정지 성능이 우수하며 지속 운행 주기가 상대적으로 길다. 또한 오랜 기간 축적된 기술로 호환성 및 신뢰성이 높아 여러 종류 선박에 적용된다.

 

2) 가스터빈 엔진

가스터빈은 내부연료의 연소를 통해 임펠러를 회전시켜 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으로, 에어스크롤 엔진과 구조가 동일하다. 다만 회전속도가 높고 출력이 높으며 디젤 엔진보다 경제성이 뛰어나지 않아 현재 항속도가 높은 함선인 군함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3) 원자력 추진 엔진

원자력 추진 엔진은 민용 선박에서 매우 드물게 사용되며 소수의 극지 탐측선만이 고출력 쇄빙을 위해 장착한다. 이외에도 항공모함, 잠수함 등도 전략적 요인으로 원자력 추진 엔진을 선호한다.

 

본 보고서는 사용되고 있는 디젤 엔진을 다루고 있다.

 

최근 중국 조선업 실적

 

2022년 기준 중국의 선박 건조량, 신조선 수주량, 신조선 수주잔량은 적재중량톤(DWT) 기준 각각 전 세계 총량의 47.3%, 55.2%, 49.0%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대비 각각 0.1%, 1.4%, 1.4% 포인트 증가한 수치이다.

 

표준선환산톤수(CGT)으로도 각각 43.5%, 49.8%, 42.8%을 차지해 1위를 기록했다.

 

<2022년 중국 조선업 주요 지표 실적>

(단위: 만 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1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싱가포르 전자산업 동향 3도토리 안소영
611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체코의 의약품 공급망 동향 3도토리 안소영
610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미국의 식품업계 ESG 동향 3도토리 안소영
610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폴란드 수소 산업 및 정책 동향 3도토리 안소영
61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한·미 금리차이 역전 특징과 분석 5도토리 안소영
61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영국의 운송인 인도조건 개혁 노력 3도토리 안소영
61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NAND 트렌드 3도토리 안소영
610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게임분야_2Q23 프리뷰 5도토리 안소영
610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분야_2Q23 프리뷰 9도토리 안소영
61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완성차, 부품업체 산업 동향 9도토리 안소영
61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분야_주가 및 업체별 수주, 주요뉴스 7도토리 안소영
61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스라엘 스타트업 분석 7도토리 민준석
60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뉴질랜드 IT 정보통신 시장 동향 7도토리 박민혁
60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분야_2023년 빅데이터 시장분석 7도토리 박민혁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선박 엔진 및 부품 시장 분석 3도토리 박민혁
60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마이크로 전동기 시장 동향 3도토리 박민혁
6095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배터리분야_중국의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기술 사양 5도토리 박민혁
609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일본 저출산 대책 및 시사점 5도토리 박민혁
6093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국 SBOM 정책 동향 5도토리 박민혁
6092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제로 트러스트 시큐리티 기술 동향 5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