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01
용량 135.1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pdf 135.1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매년 농산물 수급이 이슈다. 올해도 어김없이 기상에 따라 예측한 생산량보다 더 많이 혹은 적게 수확됐다. 더불어 곡물 수출국의 재고량 감소로 가격이 높아져 사료가격을 중심으로 가격이 뛰었고,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산란계 살처분으로 계란 가격도 크게 높다. 1980년대 중반 김장배추와 고추 수급 파동이 발생됐다. 정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가격안정기금(농안기금)을 활용해 산지 가격에 김장배추를 매취해 소비자에게 시중 가격의 70% 수준으로 판매했다. 그러나 대부분 수집상이 유통을 주도하고 있어 정책 효과가 미미해 정부의 근본적인 수급정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1990년 4월 ‘농어촌발전특별조치법’에서 농업관측과 관련한 규정을 법제화하면서 정부의 수급정책이 본격적으로 시행됐다. 1995년 WTO(세계무역기구) 체결로 우리나라의 농산물 공급은 국내산 생산량만이 아닌 수입 물량까지 고려해야 했고, 관세 이상으로 가격이 높아지면 민간 수입이 늘어나 국내 농산물 가격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이로 인해 산업이 붕괴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 수입은 늘 우리나라 농산물 수급에 불안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농산물 수급정책은 공공의 영역이다. 농산물 수급안정은 농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인이나 소비자, 국민 모두에게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농산물 가격이 높거나 낮은 것을 농업인이나 소비자는 좋아하지 않는다. 가격이 높거나 낮으면 다음해에 어김없이 반대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농산물 수급정책은 국민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책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36 성장동력산업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1도토리 국준아
835 성장동력산업 중국 tv 및 인터넷 예능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은 먼 미래 일이 아니다 1도토리 국준아
833 성장동력산업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도토리 조정희
832 성장동력산업 DAF 정보수집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31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디지털 유통의 정점, 도매시장이어야 한다 1도토리 국준아
830 성장동력산업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요약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9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業의 진화를 위한 글로벌 B2B 기업들의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
828 성장동력산업 주요 국가들의 기후변화 대응책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3도토리 조정희
827 성장동력산업 2021년 2분기 수출실적 평가 및 2021년 3분기 수출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26 성장동력산업 소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저메탄사료만이 해결책인가? 1도토리 국준아
82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7월-5) 1도토리 조정희
824 성장동력산업 100년 농협으로 가기 위한 고언 1도토리 국준아
823 성장동력산업 데이터기반의 정밀농업 체계구축 1도토리 국준아
822 성장동력산업 2021년 미국 sns 콘텐츠 마케팅 현황 [미국21-5호] 1도토리 조정희
821 성장동력산업 풍년이 반갑지 않은 농심(農心) 1도토리 국준아
820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2호) 3도토리 조정희
819 성장동력산업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로 대두된 '밭농업 기계화'의 촉진 방안 1도토리 국준아
» 성장동력산업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