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주요국 SBOM 정책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박민혁 조회수 176
용량 1.1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주요국 SBOM 정책 동향.pdf 1.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7-1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4 

디지털 생태계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되고, ICT 산업에서 오픈소스의 영향력이 확대 되면서 소프트웨어 공격으로 인한 위협이 급속도로 높아지고 있다. 2020년 12월 발생한 솔라윈즈(SolarWinds) 등 대규모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사고와 Apache Log4Shell로 촉 발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종속성(dependency) 문제는 소프트웨어 위험 체인화를 가속화 하여 미국 행정명령(Executive Order 14028) 발표의 근간이 되기까지 했다[1]. 행정명령 발표 이후 소프트웨어 공급망 대응력 강화 활동의 일환으로 소프트웨어 패키지 및 구성 요소 등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메타 데이터, 저작권 및 라이선스 등 소프트웨어 콘텐츠 정보를 제공하는 공식 명세서인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 소프트웨어 자재 명세서)의 제도화 확산 및 실증사업을 통해 디지털 인프라의 신뢰성 확보와 안전성을 강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주요 국가별 SBOM 정책 동향 분석을 통한 국내 대응 현황 및 향후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II장에서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을 유발하는 공격 벡터 와 SBOM의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해서 살펴보고, III장에서는 주요 국가별 SBOM 활성화를 위한 정책 동향 및 실증 현황을 설명하고자 한다. 끝으로 IV장에서는 본 고의 결론을 제시한 다.II.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벡터와 SBOM 구성 요소 1. 소프트웨어 공급망 공격 벡터 소프트웨어 비즈니스 생태계의 변화는 개발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 독립적인 서비스 단위의 상호연계가 가능한 API 기반의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 텍처(Micro Service Architecture: MSA)를 추구하면서 CI/CD(Continuous Integration/ Continuous Delivery)와 DevOps 환경을 통한 개발 생산성 향상 및 유연성 확대를 도모하 고 있다. 하지만 모호한 서비스 경계나 소프트웨어 복잡도 증가로 인한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투명성 저하로 인해 오픈소스 라이선스 추적이나 컴포넌트의 관리가 가능한 SBOM의 필요 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림 1]과 같이 공급망 보안위험을 유발하는 공격 벡터를 식별하고 대응하는 상관관계를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위험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개발자가 생성한 소스코드가 빌드되어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과정에서 무결성(integrity)을 저해하는 공격 벡터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개발자 측면에서

스크린샷 2023-07-12 10365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8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EU 글로벌 마켓 리포트 Ⅱ 9도토리 민준석
527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EU 글로벌 마켓 리포트 7도토리 민준석
52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주요國 ICT 표준화 관련 정책 5도토리 민준석
52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랜섬웨어 대처 가이드라인 9도토리 강정훈
527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력기기 실적 추이 5도토리 강정훈
527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동 경제환경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노민우
527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향후 자동차업계 핵심 경쟁력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2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베트남 시장경제 동향 및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2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가상발전소 기술 현황 5도토리 노민우
52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인공지능 성과 및 한계 7도토리 노민우
52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新 성장 동력 고대역폭메모리 5도토리 노민우
52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준사업 기술개발 동향 3도토리 김민성
52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차분야_中 전기차 파운드리의 등장 5도토리 김민성
52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 AI를 통한 비즈니스 혁신 5도토리 김민성
52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분야_백화점 반등에 대한 소고 3도토리 김민성
52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차전지분야_ 테슬라 2Q23 프리뷰 3도토리 김민성
52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섬유분야_패션 산업 및 기업분석 7도토리 김민성
52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유화학분야_ 中 환경 규제의 후폭풍 5도토리 김민성
526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과학 및 경제기술 정책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2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차세대 무선통신 산업 분석 5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