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로컬푸드 활성화, 지자체가 나서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2
용량 127.59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로컬푸드활성화 지자체가 나서야.pdf 127.59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언제부턴가 마트에서 판매하는 먹거리 홍보 문구에 친환경, 비유전자변형식품 (Non-GMO), 무첨가제, 안심 등의 용어가 자주 보인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국민 이 안심할 만한 먹거리 안전 확보를 위해 내년도 예산 1935억원을 편성했다고 한다. 먹거리에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일까? 우리나라는 도시지역 인구 비율이 90%를 웃돈다. 대다수 소비자가 음식을 먹으며 누가, 어디에서 생산한 것인지 의문이 들어도 생산이력을 알기 어렵다. 설령 알게 된다 해도 장을 보는 마트를 바꾸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거의 없다. 이런 상황에서 먹거리에 불안을 느낀 소비자가 가까운 지역 생산자를 찾아가 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 거나 줄이면 책임지고 소비하는 사례가 세계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선 전북 완주군이 2009년부터 마을기업을 육성하고 중소농에게 생산시설을 지원하며, 로컬푸드직매장을 개설했다. 이 로컬푸드직매장은 소비자의 폭발적 반응을 얻으며 화제가 됐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로컬푸드 확산을 위해 2013년 로컬푸드직매장 지원, 2015년 농산물 직거래법 제정, 2018년 지역 푸드플랜 수립 지원 등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민·지역 운동으로 시작된 로컬푸드가 정책으로 채택된 것이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47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46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45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44 성장동력산업 위기 속에서 엿본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능성 1도토리 국준아
843 성장동력산업 AI기반 관리 표준안 최근 경향 ETSI-ZSM과 NWDAF 3도토리 조정희
842 성장동력산업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 1도토리 국준아
841 성장동력산업 농업법인제도, 양적·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1도토리 국준아
840 성장동력산업 용산역 꽃가게와 화훼소비 1도토리 국준아
839 성장동력산업 자율형 네트워크를 위한 강화학습 연구 현황 3도토리 조정희
838 성장동력산업 공공비축미의 순기능 1도토리 국준아
837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과 농기계산업 이슈 진단 1도토리 국준아
836 성장동력산업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1도토리 국준아
835 성장동력산업 중국 tv 및 인터넷 예능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은 먼 미래 일이 아니다 1도토리 국준아
833 성장동력산업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도토리 조정희
832 성장동력산업 DAF 정보수집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31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디지털 유통의 정점, 도매시장이어야 한다 1도토리 국준아
830 성장동력산업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요약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9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業의 진화를 위한 글로벌 B2B 기업들의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