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공영도매시장 관리체계 재정립돼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83
용량 125.4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공영도매시장 관리체계 재정립돼야.pdf 125.4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우리나라 공영도매시장은 1985년에 서울 가락동농수산물도매시장 건립을 시작으로 2004년 강서도매시장이 개장해 총 33개다. 이 중 중앙도매시장은 수협 소유의 노량진수산시장을 포함해 11개고 지방도매시장은 22개다. 농수산물 유통·가격안정에 관한 법률상 중앙도매 시장은 국고지원으로 특별시 또는 광역시가 개설한 시장으로 도매 중심이 되는 시장으로 정의돼 있고 나머지는 지방도매시장으로 분류한다. 1993년 6월 농안법 개정에 따라 중앙도매시장은 거점시장으로 거래 질서를 유지하고 지방도매시장은 지방의 현실을 반영해 다양한 거래 방식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중앙과 지방을 구분했다. 중앙도매시장 개설 시 농림축산식품부가 개설허가권을 가지고 있으며 개설자와 도매시장법인에 대한 평가, 시설현대화사업 추진 지원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도매법인 지정권, 중도매인 허가권, 시장 시설·관리 운영 등 대부분의 권한은 개설자인 지자체가 맡고 있다. 농산물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향후 공영도매시장을 새롭게 건립하는 것은 어렵고 개설자와 도매법인에 대한 평가도 큰 실효성이 없어 중앙정부의 권한이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공영도매시장에 대한 정책을 입안하고 수립하는 중앙정부 담당 자는 2명에 불과하고 도매시장 평가 등에 관한 업무는 대부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aT)에 위임하고 있어 실제 도매시장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최근 비대면 거래가 늘어나고 디지털 전환으로 농산물 유통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 에도 공영도매시장은 여전히 예전의 거래 방식을 고수하고 기존의 관리 방식에 머물러 있어 공영도매시장의 관리체계를 현실에 맞게 재정립 할 필요가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47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46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45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44 성장동력산업 위기 속에서 엿본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능성 1도토리 국준아
843 성장동력산업 AI기반 관리 표준안 최근 경향 ETSI-ZSM과 NWDAF 3도토리 조정희
842 성장동력산업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 1도토리 국준아
841 성장동력산업 농업법인제도, 양적·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1도토리 국준아
840 성장동력산업 용산역 꽃가게와 화훼소비 1도토리 국준아
839 성장동력산업 자율형 네트워크를 위한 강화학습 연구 현황 3도토리 조정희
838 성장동력산업 공공비축미의 순기능 1도토리 국준아
837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과 농기계산업 이슈 진단 1도토리 국준아
836 성장동력산업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1도토리 국준아
835 성장동력산업 중국 tv 및 인터넷 예능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은 먼 미래 일이 아니다 1도토리 국준아
833 성장동력산업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도토리 조정희
832 성장동력산업 DAF 정보수집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31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디지털 유통의 정점, 도매시장이어야 한다 1도토리 국준아
830 성장동력산업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요약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9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業의 진화를 위한 글로벌 B2B 기업들의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