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콜롬비아 폐기물 매립지를 활용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추진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204
용량 6.45MB 필요한 K-데이터 1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콜롬비아 폐기물 매립지를 활용한 온실가스 국제감축사업 추진방안.pdf 6.4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6-1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51 

< 목 차 >

 

Ⅰ. 콜롬비아의 폐기물 배출 및 처리 환경
1. 개요
2. 관련 규정 및 관리정책
3. 폐기물 종류에 따른 처리 방법
4. 폐기물 관리 조직 현황
5. 폐기물 배출 및 재활용 현황

Ⅱ. 콜롬비아의 매립지 현황
1. 지역별 주요 매립지 개요
2. 주요 5개 도시 매립장 개요

Ⅲ. 폐기물 관련 온실가스 저감 계획 및 사례
1. 온실가스 저감 관련 정부 동향
2. 폐기물 분야 감축 목표
3. 콜롬비아 CDM 사업 등록 내역
4. 콜롬비아 CDM 사업 사례

Ⅳ. 매립가스를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방안
1. 온실가스 감축사업 활성화 필요성 및 방향
2. 매립가스를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방안
3. 매립장 관련 환경 인․허가 절차
4. 지역 환경청 환경 라이센스 절차

 


 

Ⅰ. 콜롬비아의 폐기물 배출 및 처리 환경
 o 콜롬비아의 1인당 폐기물 발생량(kg/일)은 0.76kg으로 향후 소득수준이 향상
되면서 폐기물 발생량은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o 정부는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환경기준에 맞는 폐기물 관리를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으나 여전히 재활용률은 16%에 머물고 있으며, 분리수거 등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관리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o 2020년 기준 콜롬비아에서 운영되는 매립지는 총 281개이며, 최다 폐기물 배출
지역은 보고타임
Ⅱ. 콜롬비아의 매립지 현황
 o 보고타의 도냐 후아나(Doña Juana) 매립지가 일 처리량이 6,221톤으로 가장 규모가
크며, 메데진의 라 프라데라(La Pradera), 칼리의 콜롬바(Colomba)의 순
 o 현 콜롬비아 매립지 중 상당수의 매립지의 사용 기간이 만료됐거나 3년 내 도래
하여 향후 폐기물 처리 대란의 발생 소지가 높음
Ⅲ. 폐기물 관련 온실가스 저감 계획 및 사례
 o 주택도시국토부를 주무부처로 하여 유기성 폐기물 관리, 매립지 바이오가스 포집
및 소각, 매립지 바이오가스 활용 등의 활동을 통한 온실가스 저감 예정
 o UNFCCC 자료를 통해 확인한 결과, 콜롬비아에서 폐기물 관련 추진되고 있는
CDM 사업은 총 16건인 것으로 확인
 o 적용된 방법론 분석 결과, ACM0001(대규모 : 매립가스의 소각 또는 사용)이 5건,
AMS-III.G(소규모 : 매립지의 메탄회수)가 4건으로 가장 큰 비중 차지
Ⅳ. 매립가스를 활용한 온실가스 감축사업 추진 방안
 o 콜롬비아는 한국의 기후변화 우선협정대상국으로 현재 양국 정부간 기후변화
협정 체결을 추진 중
 o 콜롬비아 정부는 2030년까지 NDC 51% 감축 목표를 제시했으며, 폐기물 관리
분야에서도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추진할 예정
 o 우리 기업이 콜롬비아의 매립가스 활용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참가하기 위해서는
기존 CDM 사업에 참가한 현지 파트너와 협력하는 것이 중요 

스크린샷 2023-07-05 133514.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안보정책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5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분야_코로나 이후 바이오의약 산업 7도토리 김민성
5258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유전자편집과 식품안전에 대한 보고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中 경제무역 분석 및 전망 5도토리 장민환
5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新에너지 차 관련 정책 5도토리 장민환
5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수출가공기제도 의의 및 활용 9도토리 장민환
5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캄보디아 시장 동향 7도토리 장민환
5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E-러닝 시장분석 7도토리 장민환
525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퇴직연금 개혁 및 시사 5도토리 장민환
52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영국의 CDC 제도 시행 분석 3도토리 장민환
5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개념과 위험 요인 분석 7도토리 장민환
5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주요 비즈니스 분석 및 동향 5도토리 최민기
5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중국 기술기업 동향 및 빅테크의 역할 7도토리 최민기
5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수소산업 전략분석 3도토리 최민기
5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분야_2Q23 프리뷰 9도토리 최민기
5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DDR4 16Gb 가격 반등에 관하여 3도토리 최민기
5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상증자의 빛과 어둠 7도토리 최민기
5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방향 동기화 엔진 기술 분석 3도토리 최민기
5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자 다이아몬드 자기장 현미경 3도토리 최민기
5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심리상담 분야의 AI도입에 관한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