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베트남 OCOP 활용 CSR 참여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49
용량 3.53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베트남 OCOP 활용 CSR 참여방안.pdf 3.5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6-23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6 

< 목 차 >

 

I. 베트남 OCOP(일촌일품) 활동
OCOP 개요
OCOP 제품 분류기준·내용
OCOP 평가·선정 기준 및 절차
OCOP 인증 추진단계
베트남 정부 OCOP 육성·지원정책

II. OCOP 추진 현황
전체 OCOP 추진 현황
주요 성·시별 OCOP 인증 현황
우수제품 사례

III. OCOP 지원사업·활동
국내 전시·박람회
해외 수출마케팅 사업
OCOP 확대를 위한 국제협력 사업

IV. 시사점 및 한국기업의 CSR 참여방안
베트남 농수산물 수출 현황 및 과제
OCOP 프로그램 SWOT 분석
한국기업 CSR 참여방안

 


 

‘일촌일품’의 의미를 지닌 OCOP(One Commune One Product) 정책은 지역을 대표하는 원자재 혹은 1차 상품에 해당 지역의 전문성을 더하여 개발한 특산품의 국내외
홍보 및 판매 확대를 위해 도입되었다. 베트남 외 다른 개발도상국에서도 영세
농가·가계의 소득증진을 통한 지역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63곳의 성·시를 보유한 베트남에서도 거의 모든 지역에서 다양한 OCOP 제품을 개발하는 한편, 품질, 시장성, 수출 잠재력 등을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 국가 차원의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방정부별로 자금조달 지원에서
수출마케팅 지원까지 여러 정책을 통해 OCOP 제품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다. 이처럼 OCOP는 지역 특산품 개발을 통한 농가 소득 확대, 궁극적으로는 지역경제
발전은 물론 지속가능성장을 달성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한국 기업의 사회공헌, 즉
CSR 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중앙·성정부에서 집중적으로 육성하고는 있으나
OCOP 제품의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농수산물, 과일·야채, 곡물, 수공예품 등의
품질을 개선하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데 필요한 장비·도구, 기술, 제도 및 시스템이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국을 비롯한 외국계 기업의 생산공장으로서 부상하고 있는 베트남임에도 현지
중소·영세기업의 생산·제조 역량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우수한 기술과 장비를보유한 외국기업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단순 조립·생산에서 한 차원 높은 기술을
필요로 하는 가치 창출 활동을 통해 지역경제는 물론 산업경쟁력 전반을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이에 대한 공공·민간 부문의 노력이 강화될 전망이다.

이미 베트남에 진출했거나 이를 모색중인 한국 기업에게 OCOP는 사회공헌활동, 즉
CSR 관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의
대표 상품인 각종 농산물, 과일·야채, 곡물 등에 대한 가공분야 지원, OCOP 제품의
품질 유지와 유통기한 연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콜드체인 구축, 나아가 농수산물을
전문적으로 거래할 수 있도록 각종 시스템을 갖춘 대규모 전문도매시장 건설에
이르기까지, 베트남 현지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의 시장 수요와 CSR을
접목시킨다면 국가 및 기업브랜드 제고라는 일차적인 목적은 물론 장기적 관점에서
해당 기업의 현지 비즈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크린샷 2023-07-05 132948.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6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유럽연합의 안보정책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59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분야_코로나 이후 바이오의약 산업 7도토리 김민성
5258 생명공학/바이오 [기술분석] 유전자편집과 식품안전에 대한 보고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2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中 경제무역 분석 및 전망 5도토리 장민환
52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 新에너지 차 관련 정책 5도토리 장민환
52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수출가공기제도 의의 및 활용 9도토리 장민환
52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캄보디아 시장 동향 7도토리 장민환
52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E-러닝 시장분석 7도토리 장민환
525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미국 퇴직연금 개혁 및 시사 5도토리 장민환
52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영국의 CDC 제도 시행 분석 3도토리 장민환
52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 개념과 위험 요인 분석 7도토리 장민환
52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주요 비즈니스 분석 및 동향 5도토리 최민기
52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중국 기술기업 동향 및 빅테크의 역할 7도토리 최민기
52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분야_수소산업 전략분석 3도토리 최민기
52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통분야_2Q23 프리뷰 9도토리 최민기
52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DDR4 16Gb 가격 반등에 관하여 3도토리 최민기
524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상증자의 빛과 어둠 7도토리 최민기
524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방향 동기화 엔진 기술 분석 3도토리 최민기
524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양자 다이아몬드 자기장 현미경 3도토리 최민기
52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심리상담 분야의 AI도입에 관한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