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청년농업인이 증가하고 있다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90
용량 134.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청년농업인이 증가하고 있다.pdf 134.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산업화시기 농림어업 부문은 상공업 발전을 위한 중요한 인력 공급처였다. 경제발전 단계에서 농업 노동의 감소는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겪게 된다. 우리나라도 1970년 대 이후로 산업화에 따른 농촌인구 감소와 농림어업의 축소로 인해 농림어업 취업자 는 급속하게 감소하였다. 1976년 551.4만 명에 이르던 농림어업 취업자는 2016년 127.3만 명으로 감소하였다(연평균 3.7% 감소). 농림어업 취업자 수 감소는 농업생 산에서의 노동력 부족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농업생산력 유지를 어렵게 만들었다. 그런데 2017년부터 농림어업 취업자 관련하여 전에 없던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1990년대 말 IMF 사태 이후 처음으로 농림어업 취업자가 증가하기 시작한 것이다. 통계청이 2021년 초에 발표한 2020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보면 농림어업 취업 자수는 144만 5천 명으로 전년 대비 5만 명이 증가하였는데, 이는 지난 한 해에만 아닌 최근 4년간 지속된 추세였다. 농림어업 취업자는 지난 1976년 551만명으로 최 고점을 찍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러다가 1980년대 초 석유파동시기와 1990년대 말 IMF위기 시 한해 반짝 상승(1997년 228만 5천 명에서 1998년 239만 7천 명으로 증가)한 이후 20년 넘게 감소하여 왔다. 이후 20년간 감소해오던 농림어 업 취업자는 2017년 이후 다시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농림어업 취업자를 종사상 지 위별로 보면 경영주가 91.9만 명(63.6%)(고용 6.0만 명, 무고용 85.9만 명), 임금근 로자가 12.6만 명(8.7%)(상용 3.8만 명, 임시 3.9만 명, 일용 4.8만 명), 가족종사자 가 40.0만 명(27.7%)이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20년 기준 30대 이하 9.7만 명 (6.7%), 40~50대 39.6만 명(27.4%), 60대 이상 95.2만 명(65.9%)이었다. 모든 연령 대에서 최근 증가 또는 감소세 둔화가 관찰되는데, 30대 이하 청년층과 60대 이상 고령층의 증가가 두드러졌는데, 최근 3년 농림어업 취업자 증가의 87.6%는 60대 이 상 연령층 증가, 11.6%는 30대 이하 연령층 증가에 의한 것이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48 성장동력산업 인공지능(AI), 로봇화 일자리 미래와 대응책 7도토리 국준아
847 성장동력산업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주요국 산업정책 방향 3도토리 국준아
846 성장동력산업 주요 선진국들의 탄소 중립을 위한 정책 현주소와 시사점 3도토리 국준아
845 성장동력산업 유럽의 탄소 가격 책정에 대한 과제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44 성장동력산업 위기 속에서 엿본 우리 농업과 농촌의 가능성 1도토리 국준아
843 성장동력산업 AI기반 관리 표준안 최근 경향 ETSI-ZSM과 NWDAF 3도토리 조정희
842 성장동력산업 농업 인력 정책, 틀 전환 필요 1도토리 국준아
841 성장동력산업 농업법인제도, 양적·질적 내실화가 필요하다 1도토리 국준아
840 성장동력산업 용산역 꽃가게와 화훼소비 1도토리 국준아
839 성장동력산업 자율형 네트워크를 위한 강화학습 연구 현황 3도토리 조정희
838 성장동력산업 공공비축미의 순기능 1도토리 국준아
837 성장동력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 농업과 농기계산업 이슈 진단 1도토리 국준아
836 성장동력산업 산림의 공익가치와 지속가능한 임업 1도토리 국준아
835 성장동력산업 중국 tv 및 인터넷 예능 시장 동향 3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은 먼 미래 일이 아니다 1도토리 국준아
833 성장동력산업 외국과 베트남의 드라마 협력 제작 사례 3도토리 조정희
832 성장동력산업 DAF 정보수집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31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디지털 유통의 정점, 도매시장이어야 한다 1도토리 국준아
830 성장동력산업 기계학습 기반의 텍스트 요약 기술 1도토리 조정희
829 성장동력산업 지속가능한 業의 진화를 위한 글로벌 B2B 기업들의 전략 분석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