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현황과 시사점 |
---|
분류 | 성장동력산업 | 판매자 | 조정희 | 조회수 | 41 | |
---|---|---|---|---|---|---|
용량 | 2.11MB | 필요한 K-데이터 | 3도토리 |
파일 이름 | 용량 | 잔여일 | 잔여횟수 | 상태 | 다운로드 |
---|---|---|---|---|---|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현황과 시사점.pdf | 2.11MB | - | - | - | 다운로드 |
데이터날짜 : | 2021-08-04 |
---|---|
출처 : | KOTRA |
페이지 수 : | 45 |
[ 목 차 ]
Ⅰ. 서론
1. 개념
2. 추진 배경
3. 추진 목적
Ⅱ. 주요국별 정책 동향
1. 남아프리카공화국
2. 나이지리아
3. 케냐
4. 수단
5. 에티오피아
6. 가나
7. 탄자니아
8. 모잠비크
9. 코트디부아르
Ⅲ. 분야별 동향
1. 친환경에너지/신재생에너지
2. 생활인프라
3. 녹색광물
4. 친환경 운송수단
Ⅳ.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 향후 전망
2. 시사점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추진 배경◦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발전은 석탄, 원유 등 전통적 에너지원에 주로 의존,초기 비용은 저렴하나 탄소 배출, 기후변화 등에 악영향◦ 아프리카는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 그린뉴딜을 통한 발전 가능성이 높은 편◦ 전 세계적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에 합류하고,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 동력으로 적극 활용하고자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 중□ 주요국 그린뉴딜 주요 내용 및 동향◦ (남아공)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정책 시행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 화석연료 의존도는 여전히 높지만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통합자원계획을 추진하여 전체 발전용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추진- 스마트시티 구축, 친환경 상하수도 관리 등 그린인프라 마련 노력도 지속◦ (나이지리아) 국가 재생에너지 마스터플랜, 국가 재생에너지 효율정책 등을통한 에너지 구성 다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추진- 태양광과 바이오매스 위주로 성장 중이며 풍력 및 수력에너지는 개발 단계◦ (케냐) Vision 2030 등 국가 중장기 플랜 중 그린에너지 정책 다수 선정, 그린뉴딜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조성 지원정책 시행- 아프리카 최초/최대 지열에너지 전력 산업망 구축을 위한 국가 에너지 전략을시행하고 있으며, 태양광, 수력, 지열 등이 신재생에너지 주요 투자 분야- 친환경 운송수단 전환 및 IoT 융합 기술혁신 신도시 건설도 추진◦ (수단) 나일강 유역의 수자원 개발을 통한 에너지 확보 노력 지속- '19년 정권 교체 이후 일부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가 중단된 바 있으나,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계획이 재수립될 예정- 4 -◦ (에티오피아) 경제개발 전략의 일환으로 기후 탄력적 녹색경제 추진- 수력 발전 위주로 전력이 생산되고 있으며, 풍력 및 지열 발전 확대도 추진- 그린유산 캠페인 외에도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개선, 인공 강우기술, 경전철확대, 전기차 조립생산 촉진 등 각종 산업 내 그린뉴딜 적용◦ (가나) 국가 기후변화 정책, 저탄소 개발전략 등을 수립하고 신재생에너지법을추진하여 지속가능 에너지 프로그램 시행-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5년 42.5MW에서 '30년 1,363.63MW로 확대할 계획- 인근 국가들과 국제기구간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 추진- The Drive Electric Initiative를 통한 전기자동차 사용도 촉진◦ (탄자니아) '3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 대비 10~20%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목표로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부문별 방안 마련-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및 전력 보급률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 추진, 수력을제외한 다른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아직 낮은 편◦ (모잠비크)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태양광·수력발전 분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도 활발- 총 전력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목표 및 투자 활성화 계획 수립◦ (코트디부아르) 국가 온실가스 감축정책 추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수립-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비중 확대를 위해 민간투자적극 장려, 유리한 기후 여건으로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가능□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아프리카 각국 정부들은 탄소중립의 실현뿐만 아니라 지속가능 발전목표 달성과경제개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그린뉴딜 정책 수행 중◦ 단순한 정책 및 산업 개발을 넘어 신성장동력 확보, 일자리 창출 등 공동의목표를 제시하고 상생협력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현재 아프리카의 그린뉴딜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의 비중이 큰 바,이와 관련한 프로젝트 및 제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