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41
용량 2.11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현황과 시사점.pdf 2.1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4 
출처 : KOTRA 
페이지 수 : 45 

[ 목 차 ]

 

Ⅰ. 서론

 1. 개념

 2. 추진 배경

 3. 추진 목적

 

Ⅱ. 주요국별 정책 동향

 1. 남아프리카공화국

 2. 나이지리아

 3. 케냐

 4. 수단

 5. 에티오피아

 6. 가나

 7. 탄자니아

 8. 모잠비크

 9. 코트디부아르

 

Ⅲ. 분야별 동향

 1. 친환경에너지/신재생에너지

 2. 생활인프라

 3. 녹색광물

 4. 친환경 운송수단

 

Ⅳ. 향후 전망 및 시사점

 1. 향후 전망

 2. 시사점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추진 배경◦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제 발전은 석탄, 원유 등 전통적 에너지원에 주로 의존,초기 비용은 저렴하나 탄소 배출, 기후변화 등에 악영향◦ 아프리카는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원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어, 그린뉴딜을 통한 발전 가능성이 높은 편◦ 전 세계적 기후변화 대응 움직임에 합류하고, 경제성장 및 일자리 창출 동력으로 적극 활용하고자 그린뉴딜 정책을 추진 중□ 주요국 그린뉴딜 주요 내용 및 동향◦ (남아공)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 정책 시행으로 지속가능한 발전 모색- 화석연료 의존도는 여전히 높지만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통합자원계획을 추진하여 전체 발전용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 추진- 스마트시티 구축, 친환경 상하수도 관리 등 그린인프라 마련 노력도 지속◦ (나이지리아) 국가 재생에너지 마스터플랜, 국가 재생에너지 효율정책 등을통한 에너지 구성 다변화 및 온실가스 배출 감축 추진- 태양광과 바이오매스 위주로 성장 중이며 풍력 및 수력에너지는 개발 단계◦ (케냐) Vision 2030 등 국가 중장기 플랜 중 그린에너지 정책 다수 선정, 그린뉴딜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조성 지원정책 시행- 아프리카 최초/최대 지열에너지 전력 산업망 구축을 위한 국가 에너지 전략을시행하고 있으며, 태양광, 수력, 지열 등이 신재생에너지 주요 투자 분야- 친환경 운송수단 전환 및 IoT 융합 기술혁신 신도시 건설도 추진◦ (수단) 나일강 유역의 수자원 개발을 통한 에너지 확보 노력 지속- '19년 정권 교체 이후 일부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가 중단된 바 있으나,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계획이 재수립될 예정- 4 -◦ (에티오피아) 경제개발 전략의 일환으로 기후 탄력적 녹색경제 추진- 수력 발전 위주로 전력이 생산되고 있으며, 풍력 및 지열 발전 확대도 추진- 그린유산 캠페인 외에도 폐기물 재활용 시스템 개선, 인공 강우기술, 경전철확대, 전기차 조립생산 촉진 등 각종 산업 내 그린뉴딜 적용◦ (가나) 국가 기후변화 정책, 저탄소 개발전략 등을 수립하고 신재생에너지법을추진하여 지속가능 에너지 프로그램 시행- 신재생에너지 비율을 '15년 42.5MW에서 '30년 1,363.63MW로 확대할 계획- 인근 국가들과 국제기구간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에너지 효율화 추진- The Drive Electric Initiative를 통한 전기자동차 사용도 촉진◦ (탄자니아) '30년까지 BAU(Business As Usual) 대비 10~20% 온실가스 배출감축을 목표로 기후변화 적응 및 완화를 위한 부문별 방안 마련-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및 전력 보급률 확대에 초점을 맞추어 정책 추진, 수력을제외한 다른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아직 낮은 편◦ (모잠비크)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추진, 태양광·수력발전 분야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도 활발- 총 전력의 2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목표 및 투자 활성화 계획 수립◦ (코트디부아르) 국가 온실가스 감축정책 추진, 장기 저탄소 발전전략 수립- 태양광, 풍력, 바이오매스 등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비중 확대를 위해 민간투자적극 장려, 유리한 기후 여건으로 다양한 에너지원 활용 가능□ 향후 전망 및 시사점◦ 아프리카 각국 정부들은 탄소중립의 실현뿐만 아니라 지속가능 발전목표 달성과경제개발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 그린뉴딜 정책 수행 중◦ 단순한 정책 및 산업 개발을 넘어 신성장동력 확보, 일자리 창출 등 공동의목표를 제시하고 상생협력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 현재 아프리카의 그린뉴딜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의 비중이 큰 바,이와 관련한 프로젝트 및 제품 진출이 유망할 것으로 기대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 그린뉴딜 정책 현황과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808 성장동력산업 농촌공간계획 제도화로 지방소멸에 대응하자 1도토리 국준아
807 성장동력산업 디지털시대, 온라인 농산물 판매조직 육성해야 1도토리 국준아
806 성장동력산업 농업·농촌이 넘어야 할 ‘위기의 산’ 1도토리 국준아
805 성장동력산업 농식품 폐기문제, 접근방식 전환의 필요성 1도토리 국준아
804 성장동력산업 농정 회고와 과제 1도토리 국준아
803 성장동력산업 삶과 일과 쉼의 공간, 농촌을 위한 계획 1도토리 국준아
802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의 농업·농촌, 새로운 가능성을 찾자 1도토리 국준아
801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시대 한우산업의 명암(明暗) 1도토리 국준아
800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 코로나19 백신 공급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799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8월-1) 1도토리 조정희
798 성장동력산업 2021 산림 탄소 금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797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이니셔티브 - 산림 보호 정책 분야 1도토리 조정희
796 성장동력산업 기후 환경 목표 달성을 위한 그린 수소 비용 절감 1도토리 조정희
795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기후변화 저감 전략에서 자연기반해법의 도입 1도토리 조정희
794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35호(21년 08월 06일) 1도토리 조정희
793 성장동력산업 우리 사회의 공론화: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은? 1도토리 조정희
792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변경 내역(안) 1도토리 국준아
791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3도토리 국준아
790 성장동력산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운영세칙 개정(안)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