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중동에서의 美-中 경쟁과 중동의 대응(다극화 정책)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33
용량 1.12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중동에서의 美-中 경쟁과 중동의 대응(다극화 정책) 및 시사점.pdf 1.12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2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 목 차 >

1. 중동에서의 미-중 경쟁
2. 미국의 對중동 정책
3. 중국의 對중동 정책
4. 중동의 대응 방안: 다극화 정책
5. 시사점

 


 

○ 중국의 국제 영향력 부상으로 중동에서 미국은 영향력 축소, 반면 중국은
영향력 확대 등 양국 영향력 변화
- 미국은 중국 영향력 확대 억지 위해 중동 전략 자산의 ‘아-태 지역’ 집중으로
중동 영향력 축소
- 중국은 중동 최대 교역국이자 에너지 수입국으로 중동과의 경제 협력 확대
- 2022년 러-우 전쟁으로 중동 지정학 중요성이 커지자 미국은 중동 정책 재검토
○ 미국은 중동의 에너지 및 지역 안보 유지 위해 군사 협력에 중점
- 특히 최근 중동에서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중국과 이란 핵 개발 억지를 위해
카타르, 쿠웨이트, 바레인, 사우디 등 주요 국가들에 군사기지 유지
-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대응과 경제협력을 목표로 이스라엘, 인도, UAE, 미국 등
4개국은 ‘중동판 쿼드’인 ‘I2U2’를 결성
- 2022년 7월 바이든의 중동 순방을 계기로 미국은 그동안 관계가 악화된
이스라엘 및 사우디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 중
○ 중국은 자국 에너지 안보 최우선 속 중동에서의 정치, 경제 영향력 확대 중
- 미국의 이라크 및 아프간 철수, 사우디 등 친미 국가들과의 관계 악화 틈새
공략을 통해 영향력 확대
- 중동 최대 교역국인 중국은 2021년 GCC+이란과의 무역액이 2,480억 달러로
미국의 4배에 달함
- 또한 중동은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일대일로의 주요 거점이자 최대
투자처로 부상
○ 중동은 기존의 친미 일변도에서 중국, 인도, 한국 등 아시아와 협력 강화
- 중동 국가들의 다극화 정책 주요인은 안보 확보로 미국에 전적으로 의존한 안보
공백 우려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
- 또한, 에너지 의존 경제의 취약성 탈피 및 산업 다각화 필요성 증대도 요인
○ 중동 국가들의 아시아 중시 정책에 따라 한-중동 산업 협력 확대 기회
- 2010년 이후 사우디 및 UAE는 산업 다각화 일환으로 한국과 경제협력 강화
- 사우디와는 스마트 인프라(네옴시티 등), 수소 등의 사업 참여 기회가, UAE와는
수소, 보건(병원 건립), 스마트 팜 등의 사업 기회 모색 필요

 

화면 캡처 2023-06-14 111611.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소 산업 시장현황 및 정책과제 9도토리 장민환
6278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美, 미국 제조역량 발전을 위한 기술개발 행정명령 발표 5도토리 장민환
627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소비재 수출 분석 및 시사점 5도토리 장민환
6276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中, 5G 메시징 망단 협업강화 고시 초안 발표 5도토리 장민환
627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금리 기조의 기업부채 및 구조적 전환 가능성 5도토리 민준석
627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위안화 국제화 현황 3도토리 민준석
627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美비트코인 현물 ETF 상장 움직임 3도토리 민준석
6272 성장동력산업 [경제분석] 엔화환율 변동의 영향 7도토리 민준석
627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재고가 줄어드는 정유화학 5도토리 장민환
627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에너지분야_미국 해상풍력 확대 정책 등으로 성장성 가속화 11도토리 장민환
626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전기전자분야_자율주행, MLCC, 패키지 주목 5도토리 장민환
626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중동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호주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헝가리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장민환
626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필리핀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장민환
626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폴란드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장민환
626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페루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키스탄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라과이 해외 비즈니스 전략 11도토리 이지훈
626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3년 파나마 해외 비즈니스 전략 9도토리 이지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