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술의 개념 본 과제에서는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로부터 발생하는 사용자 및 미디어 콘텐츠에 관련한 다양한 유형의 암시적 정보들을 분석하여 실시간으로 각 사용자의 상황 및 취향을 인지하여 적합한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 더 나아가 미디어 콘텐츠를 예측하여 추천해주는 것을 목표 스마트 미디어 도메인에서의 성공적인 추천 서비스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기술적 한계들(challenges)을 종합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미디어 콘텐츠 추천 기술을 개발- 데이터 희소성(data sparsity) 문제 - 새로운 미디어 콘텐츠 추천 문제 - 단일-클래스 협업 필터링(one-class collaborative filtering) 문제 2. 기술 특징 사용자 취향 및 감성을 고려하는 콘텐츠 추천 기술 콘텐츠들 간 경쟁 관계를 고려하는 콘텐츠 추천 기술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새로운 콘텐츠 추천 기술 인과관계 모델링 및 리뷰/줄거리 분석 기반 설명 가능한 콘텐츠 추천 기술 III. 국내외 기술 동향 및 경쟁력 1. 국내 기술 동향 한양대학교(신청기관)는 사용자별 비관심 선호도의 개념을 이용하여 추천 시스템 분야의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완화하는 zero-injection(2016), gOCCF(2018), CFGAN(2018), TVshow(2019), AR-CF(2020), DIVINE(2022) 등의 기술들 개발서울대학교는 개인의 선호도와 모든 사용자들의 선호도를 조합하여 미디어 상품을 추천하 는 기술 개발(2021) 고려대학교는 self-attention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여러 가지 특징들 중 핵심적인 특징들 을 찾아내 추천에 활용하는 기술 개발(2019) 성균관대학교는 사용자 별 콘텐츠 이용 순서를 고려하는 추천 기술 개발(2020) 포항공과대학교는 지식 증류(knowledge distillation) 기반의 추천 기술 개발(2020) 2. 국외 기술 동향 Microsoft Research Asia에서는 추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강화학습을 이용한 설명 가능한 추천 기술 개발(2018) PennState University는 행렬 분해 기반의 추천 알고리즘 최적화 및 특정 사용자의 정보 에 편향되지 않도록 학습하는 추천 기술 개발(2021) Georgia Tech는 데이터 희소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신경망 기반 추천 알고리즘 의 데이터 증강 기술 개발(2021) George Mason University는 사용자 감정 데이터를 학습하는 추천 기술을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