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글로벌 반도체기업들의 파운드리 미세화 공정 경쟁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민준석 조회수 177
용량 407.61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글로벌 반도체기업들의 파운드리 미세화 공정 경쟁.pdf 407.6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6-1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오늘날 반도체는 연산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기기에 탑재되며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스마트폰으로부터 자동차, 첨단 군사무기에 이르기까지 이들의 성능을 반도체가 좌우한다. 반도체 산업에서 파운드리(Foundry)는 반도체의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팹리스(Fabless) 기업으로부터 제조를 위탁 받아 반도체 제조를 전문으로 하는 생산 전문기업이다. 대만의 TSMC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UMC(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미국의 글로벌 파운드리, 중국의 SMIC(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Company) 등이 대표적이다. 종합반도체(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IDM) 중 일부는 자사의 반도체뿐만 아니라 다른 기업의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 기능을 함께 수행하기도 하는데 삼성전자, 인텔은 모두 IDM이면서 파운드리 기능을 갖고 있다[1]. 2020년 발생한 코로나 바이러스19로 인해 반도체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파운드리 매출이 급증하였다. TSMC는 2022년 3분기부터 삼성전자를 누르고 세계 매출 1위의 반도체업체에 오르면서 파운드리가 미래 산업의 핵심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사물 인터넷, 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시스템 반도체를 생산해주는 파운드리 산업은 고도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2]. TSMC와 삼성전자는 부가가치가 높은 7나노(nm) 이하의 파운드리 미세공정에 주력하고 있고, 인텔도 파운드리 시장에 진입하여 미세공정을 구현하겠다고 선언하여 파운드리 업계의 미세화 공정이 심화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파운드리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TSMC, 삼성전자, 인텔 등 글로벌 반도체 3장의 미세화 공정 경쟁을 분석한 다음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II.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 현황 시장조사기관 IC인사이츠에 따르면 세계 반도체 파운드리 시장은 2016년 577억 달러에 서 2020년 873억 달러로 성장했고 2025년 1,512억 달러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2년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규모는 1,321억 달러로, 2021년보다 20% 커질 것으로 전망 된다[3].

화면 캡처 2023-06-14 100006.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6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로 살펴본 글로벌 인플레이션 추이 및 향방 5도토리 민준석
5159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소벤처기업수출동향조사 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9도토리 민준석
51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2.3분기 update & AI 보안 시장 7도토리 민준석
515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ICT 이슈 및 유망기술 9도토리 민준석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글로벌 반도체기업들의 파운드리 미세화 공정 경쟁 5도토리 민준석
51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해양 통신의 6G 기반 차세대 네트워크 연계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
51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항공분야_예상과 다른 유가 및 비수기 수요 7도토리 민준석
51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제약분야_2023년 ASCO 7도토리 민준석
51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술혁신에 대응한 규제 사례와 이슈Ⅱ: 디지털 혁신의료기술의 보상 13도토리 강정훈
515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디지털 권리 보장을 위한 선언문 및 헌장 7도토리 강정훈
51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심화 시대,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 방안 7도토리 강정훈
514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그린-디지털 전환 추진방향 7도토리 강정훈
51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AI서버보다 업황 바텀 아웃 관점으로 접근 필요 3도토리 강정훈
514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반등의 조건 5도토리 강정훈
51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짧은 반등 사이클 그리고 미국 11도토리 강정훈
5145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전기전자분야_애플 Vision Pro 와 이미지센서의 미래 3도토리 강정훈
5144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해양운송분야_BDI, SCFI 반등에 주가 강세 3도토리 강정훈
5143 성장동력산업 [산업정책] 2023년 글로벌 신통상포럼 11도토리 강정훈
5142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추진동향 7도토리 전아람
5141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탄소 제거 인증제도 법안(proposal) 주요내용 5도토리 전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