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EU,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추진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전아람 조회수 176
용량 1.0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EU,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 제한 추진동향.pdf 1.0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5-12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22 

< 목 차 >

 

1. 개요 · 1


2. PFAS 제한보고서 주요 내용 · 3
2.1. (제1장) 문제점 도출(Problem identification) · 3
2.2. (제2장) 영향 평가(Impact assessment) · 5


3. PFAS 제한 관련 ECHA 웨비나 주요내용 · 10


4. 분석 및 규제 전망 · 14
4.1. PFAS 제한보고서 채택 가능성 · 14
4.2. EU PFAS 제한보고서 채택 시 시행 예상 시기 · 15
4.3. 국내 산업별 PFAS 사용 동향 · 16


5. 산업계 대응방안 제언 · 18


6. 참고자료 · 19

 


 

ㅇ (개요) 유럽화학물질청(ECHA)은 EU 역내 과불화화합물(PFAS)* 사용제한을확대하기 위한 보고서 공개(‘23.3.22) * 완전불화된 탄소(CF3- 또는 -CF2-)를 가진 유기화학물질, 쉽게 분해되지 않아 잔류성 축적성이 높고, 인체·환경 內 광범위하게 발견 - (검토배경) 기존 특정 PFAS의 취급금지 또는 제한하는 “스톡홀름협약” 등*의 기존 제한에 추가되는 제안으로 PFAS를 사용하는 업계 및 기업의 관심 필요 * (스톡홀름협약) PFOS/PFOSF 제한(’09∼) → PFOA 제한(‘20∼) → PFHxS 제한(예정) ㅇ (보고서 주요 내용) PFAS 물질의 유해성, 제한 시나리오에 따른 이익과 비용에대한 분석을 통하여 최적 제한옵션을 제시 - (신규 규제 대상 물질) 하나 이상의 완전히 불소화된 메틸(CF3-) 또는 메틸렌(-CF2-) 작용기를 하나 이상 포함한 모든 PFAS가 규제 대상 * 완전 분해가능한 PFAS는 대상에서 제외 - (PFAS 주요 사용처) 총 14개 부문을 주요 PFAS 사용처로 언급 * 섬유 의류, 포장재, 금속제품, 혼합소비재, 화장품, 스키왁스, 불소가스 적용 제품, 의료기기, 운송, 전자 반도체, 에너지 부문, 건축제품, 윤활제, 정유 광업 - (최적 제한옵션) PFAS 대체물질 부재 시 갑작스러운 사용금지 조치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여 ‘제한옵션 2’를 적절한 대안으로 제안 * 품목에 따라 18개월 전환기간 부여 후 완전금지, 5년 또는 12년 사용 유예 부여 ㅇ (웨비나 개최) 제한보고서 세부 내용 설명, REACH 제한 조치 절차·일정및 제한보고서 관련 의견 제출 방법 등 안내(‘23.4.5) -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ECHA 홈페이지*를 통해 PFAS 제한 규제 방안, 제한보고서 관련 검토 사항 등에 대한 의견수렴 진행 中(’23.3.22 ~ 9.25) * https://echa.europa.eu/restrictions-under-consideration ㅇ (분석 및 규제 전망) EU뿐 아니라 미국*도 PFAS 규제 시행 등 국제적으로 지속 강화 추세여서 PFAS 규제는 강화될 것으로 가능성 높음. * (미국) 소방제품 및 식품포장 관련 PFAS 제조 및 판매금지(’06∼) - (국내 산업 연관성) 우리나라 대표업종에서 대부분 PFAS 물질을 사용하고있어 제한보고서 채택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볼 필요성 높음. ㅇ (제언) 기업별 사용 중인 PFAS 현황 파악 → EU 제한보고서 의견수렴 기한 내의견 제시(~‘23.9.25) → EU 진행 상황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 PFAS 사용 시 공급망 다변화 → 대체물질 기술개발 투자 등의 대응방안 마련 필요

 

화면 캡처 2023-05-31 153557.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20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시장 동향과 국내 ICT 기업에 대한 시사점 5도토리 민준석
519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네덜란드 ICT 시장동향 2023 7도토리 민준석
519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영국 디지털헬스케어 진출가이드 2023 7도토리 민준석
519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신경망 경량화 기술 3도토리 민준석
519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원자 앙상블 양자메모리 3도토리 민준석
519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 플랫폼 간 상호연동 이슈 및 표준화 동향 5도토리 민준석
51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6G 통신 무선 측위ㆍ센싱 기술 동향 5도토리 민준석
519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가트너 선정, 2023년 10대 정부 기술 트렌드 3도토리 민준석
51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메타버스분야_메타버스, 생성AI 엔진을 달다 7도토리 민준석
51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의 거대한 흐름, 디지털 금융 5도토리 민준석
51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사이버 범죄 대응 5도토리 민준석
51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탈탄소 시대, 캐나다 에너지 시장 동향과 우리 기업 진출 기회 13도토리 민준석
51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ESS 산업 진출전략 7도토리 민준석
51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베트남 구조조정 가이드북 13도토리 민준석
518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남아공,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규정 개정 심층분석 보고서 5도토리 민준석
51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Catena-X가 함의하는 車 산업 데이터 공유 방향 3도토리 박민혁
51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디지털병리 산업 동향 5도토리 박민혁
51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방산수출을 방위산업의 새로운 도약으로 3도토리 박민혁
518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분야_2023년 중국 자동차산업 경영환경 변화와 전망 5도토리 박민혁
51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건설기계산업 변화의 현주소와 변화 방향 5도토리 박민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