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분석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53
용량 1.35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분석과 시사점.pdf 1.3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5-1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9 

< 목 차 >

 

Ⅰ. 연구배경
1. 배터리 산업의 특징
2. EU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전략적 중요성

Ⅱ. EU 전기차 배터리 시장 현황
1. EU 전기차 배터리 산업 현황 및 전망
2. EU 리튬이온 배터리 산업의 공급망 현황
3. EU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주요 기업
(1) EU의 주요 기업
(2) 우리나라 기업의 EU 진출 현황
(3) 최근 중국 기업의 적극적인 EU 진출 행보

Ⅲ. EU의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정책
1. EU의 전기차 배터리 산업 육성정책
(1) 지속가능한 배터리법(Sustainable Batteries Regulation)
(2) 한시적 위기 및 전환 프레임워크(TCTF)
(3) 탄소중립산업법(NZIA)
(4) 핵심원자재법(CRMA)
2. 주요 회원국의 전기차 배터리 관련 외국기업 투자유치 정책
(1) 독일 / (2) 헝가리 / (3) 폴란드 / (4) 스웨덴

Ⅳ.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의 수출현황과 경쟁력 분석

1. 우리나라의 對EU 배터리 및 소재 수출 현황과 경제적 효과
2. EU시장에서 우리나라 배터리 기업의 경쟁력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EU는 세계 2위의 전기차 판매국이자 배터리 수요 대국으로서 향후에도 배터리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일찍이 EU시장에 진출해 배터리를 양산해온 우리나라는 '22년 기준 EU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64%를 점유하고 있다. EU 현지 배터리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소재인 양극재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이로 인해 생산부가가치취업 등 국내 경제에 미치는 효과도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EU의 배터리 공급망 분야 중 광물소재장비재활용 분야는 수요 대비 공급이 부족해 성장 가능성이 높다독일헝가리폴란드 등 주요 EU 회원국들은 배터리 기업 유치를 위해 대규모 보조금 및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투자 여건도 우호적이다.

 

최근 EU에서는 대형 전기차 브랜드들의 배터리 수주를 받기 위한 한중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게 진행되고 있다중국을 배제한 채 배터리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미국과 달리, EU는 늘어나는 역내 배터리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중국 기업의 투자 유치에도 적극적이기 때문이다실제로 2020년 불과 17%였던 중국의 EU시장 점유율은 '22년 34%로 상승했고같은 기간 한국은 68%에서 64%로 하락했다중국 기업들은 미국시장 진출이 여의치 않자 자국 정부의 지원을 등에 업고 EU시장에 대한 대규모 투자에 나서고 있다중국의 1위 기업 CATL은 완성차 기업의 수주를 받기도 전에 헝가리에 100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공장을 짓기 시작했다반면 한국 기업들은 내수시장이 협소해 대규모 수요에 대응해 본 경험이 부족한데다 자금력과 가격 경쟁력이 열세인 상태로 EU시장에서 중국과 경쟁해야 하는 상황이다.

 

화면 캡처 2023-05-31 145427.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40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쿠웨이트_데이터 수집, 저장, 개인정보 및 보호 규정 5도토리 전아람
513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국내 기업의 XBRL 재무공시 의무화 확대 의의와 과제 3도토리 전아람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글로벌 배터리의 최대 격전지, EU 배터리 시장 분석과 시사점 9도토리 류지원
5137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의 희토류 기술 규제 및 시사점 5도토리 류지원
5136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규제샌드박스 규제사례 11도토리 류지원
513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인도 통상환경의 변화와 대응방안 11도토리 류지원
5134 성장동력산업 [정책분석] EU 핵심원자재법 및 원자재 관리정책 9도토리 류지원
51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화장품/의류분야_2023 화장품/의류 하반기 전망 9도토리 류지원
513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엔터분야_K엔터 국내 대표 4사 엔터 고 성장세 지속 전망 11도토리 이지훈
513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차세대 메모리의 PIM을 통한 AI 및 일반 컴퓨팅 용이화 기술 5도토리 이지훈
513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멀티모달 메타학습 알고리즘 3도토리 이지훈
512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의 올바른 이해, 구현과 활용 방안 5도토리 이지훈
51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6G 네트워크의 디지털트윈 5도토리 이지훈
5127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통신분야_보이스피싱 앱 및 통화 하이재킹 탐지 기술 3도토리 노민우
51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데이터 중심 머신러닝 시스템 개발을 위한 AI 데이터 플랫폼 활용 5도토리 노민우
512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저궤도 위성 IoT 전송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1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분야_반도체 기반양자 중계기 3도토리 노민우
51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헬스케어분야_복합센서 모듈 및 통신부, 태양열 충전장치를 보유한 스마트워치 3도토리 노민우
512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국내 생성형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개발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1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분야_차세대 통신(6G, 위성) 글로벌 동향 5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