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의 희토류 기술 규제 및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류지원 조회수 135
용량 687.71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의 희토류 기술 규제 및 시사점.pdf 687.7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5-1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 목 차 >

 

1. 배경
2. 「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의 희토류 기술 주요내용
3. 희토류 및 영구자석의 공급망 현황과 주요이슈
4. 중국의 희토류 산업현황 및 정책
5. 「중국 수출금지·제한 기술목록」 개정안의 영향 및 시사점

 


 

중국 상무부와 과학기술부는 ‘22년 12월 30일 「중국 수출금지·제한 기술목록」의 개정안을 발표하고 이에 대한 의견을 수렴했다. 이번 목록 개정안은 지난 ’20년 개정 이후 불과 2년만에 발표된 것으로, 급속히 발전하는 중국 첨단기술을 보호하고 심화되고 있는 미중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 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번 목록 개정안에서 주목할만한 부분은 희토류 관련 기술 규제 강화 및 범위 확장이다. 동 개정안에서는 처음으로 등 희토류 영구자석 제조기술이 수출 금지항목에 포함되었다. 또한 희토류의 정·제련 및 가공 분야에서도 과거 목록 대비 규제범위가 넓어진 것으로 나타나 희토류 산업의 업스트림부터 다운스트림까지 중국의 통제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은 제품이 아닌 기술수출 금지라는 점에서 세계 희토류 공급망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유럽, 미국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희토류 및 희토류 영구자석의 가치사슬 내재화가 지연되며 중국에 대한 높은 의존도가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 우리나라는 희토류에 대한 중국 기술규제 현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리스크 완화를 위한 국제공조 확대, 수입처 다각화, 기술 개발 등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 2022년 12월 30일 중국 상무부 및 과학기술부는「중국 수출 금지·제한 기술목록」의 개정안을 발표하고 공개 의견수렴을 시행1) * 수출 금지 및 제한 기술목록 : 중국 ‘대외무역법’ 및 ‘기술수출입 관리조례’에 근거하여 ▲수출 금지· 제한 기술의 목록과 세부 통제항목 등을 명시한 규정 ‘기술수출’이란 무역, 투자 또는 경제 및 기술협력을 통해 중국에서 해외로 기술을 이전하는 것을 의미2) - 특허권 또는 특허 출원권 양도, 특허 실시 허가, 영업 비밀 양도, 기술 서비스 및 기타 형태의 기술 양도를 포함 기술수출은 자유, 제한, 금지 총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수출제한 기술의 수출을 위해서는 허가증 발급이 필요 - ‘수출금지’는 수출이 원천적으로 금지되며, ‘수출자유’유형은 사후 등록제로 운영-‘수출제한’으로 분류된 기술의 수출심사는 3)에 따른 허가 절차를 이행하고 허가증을 발급받아야 함

화면 캡처 2023-05-31 144716.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분야_지역의 탄소중립 수용력 진단과 시사점 5도토리 박민혁
5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분야_소재효율성, 순환경제 전환의 중요한 열쇠 5도토리 박민혁
5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CCUS분야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5도토리 박민혁
5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 경제 및 철강산업 현황과 전망 5도토리 박민혁
517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마이크로바이옴 CDMO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2 바이오제약 글로벌 M&A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5도토리 국준아
5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환경분야_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5도토리 국준아
5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Micro-LED 기술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심혈관질환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성 연구 5도토리 국준아
5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지능형 사이버보안 5도토리 국준아
5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1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ChatGPT와 사이버보안 5도토리 국준아
5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분야_우주발사체 중량 감소를 위한 최근 연구개발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환경분야_대기오염 저감 조치가 상수원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형 AI 주요 이슈 및 동향 5도토리 김민성
5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블록체인 시스템과 비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어주는 오라클 5도토리 김민성
5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에서 인공지능의 글로벌 사용 동향과 수확량 확대를 위한 제언 5도토리 김민성
5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팬데믹 이후 메가트렌드와 미래 철강산업 11도토리 김민성
5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CCUS분야_철강 CCUS의 미래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