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국내 생성형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노민우 조회수 141
용량 652.91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공지능분야_국내 생성형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개발 동향.pdf 652.9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5-24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3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 생성 AI)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2022년 11월 출시된 OpeanAI의 Chat GPT(Generic Pretrained Transformer)를 통해 대중적 사용과 함께 다양한 활용 사례가 늘어나면서[1], 학계와 대학가를 중심으로 이에 대한 저작 권침해 여부 판단 기준 및 윤리적 사용 가이드까지 만들어지고 있다. 2023년 3월에는 또 다른 챗봇 AI인 구글의 바드가 출시되는 등 본격적인 생성형 인공지능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2].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 비영리단체 미래생명연구소(FLI)가 GPT-4의 기능보다 높은 수준의 생성 AI 개발을 6개월 간 중단하자는 캠페인을 2023년 3월 발표한 바 있다[3]. 여기 에는 스티브 워즈니악 애플 공동창립자,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 등 약 3만 명의 과학자 와 재계 인사가 한 달 만에 지지 서명을 했다. 생성 AI의 개발 속도가 급진적이며, 대량학습 과정에서의 저작권침해나 개인 및 공공정보 의 해킹, 허위정보 전달, 기존 일자리 대체 등 사회적 문제가 야기될 수 있기 때문인데, 그만 큼 생성 AI의 편리함과 효율성은 부각된 반면, 이러한 우려에 대한 논의나 제도적 장치 마련 은 아직 미비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2022년 8월 교육 분야 AI 윤리원칙을 발표한 바 있지만, 급변하는 기술개발 흐름 속에 다시금 개정 방침을 세워 지난 3월 Chat GPT 활용원칙에 관한 정책 수립 연구를 대학에 의뢰하는 등 에듀테크의 긍정적 활용 방안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4]. 이처럼 이슈가 되고 있는 생성 인공지능은 인공지능의 한 종류로써, 기존 딥러닝 기반의 AI보다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대량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능동적으로 새로운 결과물을 제공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응용하면 다양한 분야에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거나 촉진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긍정적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은 [표 1]과 같다. 최근에는 콘텐츠의 창작 및 서비스 기능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데 인간만이 할 수 있다고 여겨지던 소설이나 시, 그림 등의 예술작품 창작과 이미지 해석 등의 복잡한 사고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품질 역시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6]. 이에 따라 콘텐츠의 제작 및 유통 관련 산업 생태계 전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생성 AI가 만들어내는 콘텐 츠와 제공하는 서비스의 분류는 창작 주체와 구현 형태에 따라 [표 2]와 같이 달라진다.

 

화면 캡처 2023-05-24 111752.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18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분야_지역의 탄소중립 수용력 진단과 시사점 5도토리 박민혁
51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분야_소재효율성, 순환경제 전환의 중요한 열쇠 5도토리 박민혁
517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CCUS분야_탄소중립 산업전환을 위한 열분해 기술 활용과 정책과제 5도토리 박민혁
517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중국 경제 및 철강산업 현황과 전망 5도토리 박민혁
517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마이크로바이옴 CDMO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2022 바이오제약 글로벌 M&A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바이오분야_의약품 연속제조(CM) 공정의 이점과 기회 5도토리 국준아
517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환경분야_분산형 폐수처리 시스템 연구 현황 5도토리 국준아
517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전기전자분야_Micro-LED 기술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7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심혈관질환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성 연구 5도토리 국준아
517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지능형 사이버보안 5도토리 국준아
516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공지능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1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ChatGPT와 사이버보안 5도토리 국준아
51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기계분야_우주발사체 중량 감소를 위한 최근 연구개발 동향 5도토리 국준아
51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환경분야_대기오염 저감 조치가 상수원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5도토리 국준아
516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생성형 AI 주요 이슈 및 동향 5도토리 김민성
51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정보통신분야_블록체인 시스템과 비블록체인 시스템을 이어주는 오라클 5도토리 김민성
516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농업에서 인공지능의 글로벌 사용 동향과 수확량 확대를 위한 제언 5도토리 김민성
516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철강분야_팬데믹 이후 메가트렌드와 미래 철강산업 11도토리 김민성
51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CCUS분야_철강 CCUS의 미래 5도토리 민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