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편성 결과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32
용량 735.6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호_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편성결과.pdf 735.6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 
페이지 수 :  

1. 보고주문 ㅇ「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편성 결과」를 별지와 같이 보고함 2. 제안이유 ㅇ「과학기술기본법」시행령 제21조 및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 시행령 제8조에 근거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예산안 편성 결과를 보고하고자 함 3. 주요내용 가. 2022년도 정부 R&D 예산안 ㅇ (정부 총지출) ‘22년 예산안은 경제회복과 글로벌 강국으로의 도약 등을 위해 ’21년 대비 46.4조원(8.3%) 늘어난 604.4조원으로 편성 ㅇ (정부 R&D 예산안) ‘22년 정부 R&D 예산안은 29조 8,006억원으로, ’21년 대비 2조 4,001억원(8.8%) 증액, 정부 총지출 대비 4.9% 수준 - 주요 R&D는 24.3조원으로 ‘21년 대비 1.8조원(8.1%) 증액되었으며, 일반 R&D*는 5.5조원으로 ’21년 대비 0.6조원(11.6%) 증액 * ’22년 정부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 기획평가관리비(3,826억원)는 주요→일반R&D로 이관 ㅇ (국가재정운용계획) 총지출은 ’21~’25년 기간 중 연평균 5.5% 증가 - R&D 분야는 한국판 뉴딜 및 소재‧부품‧장비 등 산업경쟁력 확충, 미래 신산업 도전을 위한 성장동력 발굴, BIG3(바이오헬스, 미래차, 시스템 반도체) 분야 전략적 투자 등에 연평균 6.6% 증가 계획 ( 2 ) 나. 2022년도 정부 R&D 주요투자 분야 1 위기대응 투자 ① 감염병 대응(0.5조원) -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지원을 지속하고, mRNA 백신 등 차세대 혁신기술 및 K-글로벌 백신허브 구축에 중점 투자 ② 국민안전 확보(1.7조원) - 기후변화 등 재난재해 대응을 강화하고, 첨단 과학기술 기반의 치안 R&D 고도화 및 생활 속 위해요소 저감을 위한 R&D 투자 강화 2 혁신산업 육성 ① 디지털뉴딜(1.7조원) - 차세대 D.N.A(Data, Network, AI) 기술 확보 및 全 산업 융합‧확산, 비대면‧초연결 산업 육성 및 SOC 디지털화 등 중점 지원 ② 그린뉴딜 및 탄소중립(1.9조원) - 스마트그리드‧신재생 에너지, 탄소 포집‧저장‧활용 관련 CCUS* 기술, 저탄소 산업공정 전환 등 2050 탄소중립 실현 기술혁신에 중점 투자 *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 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기술 ③ 혁신성장 3대 핵심산업 집중 육성(2.8조원) - (바이오헬스) 범부처신약 및첨단융합 의료기기 개발과바이오 인재양성 등지원 - (미래차) 전기‧수소 등 친환경차 효율향상, 자율주행차(Lv4) 기능 고도화 지원 - (시스템반도체) AI용 및 차세대전력용 반도체, 첨단센서 등의 핵심기술 개발 ※ 바이오헬스 1.9조원, 미래차 0.5조원, 시스템반도체 0.4조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39 성장동력산업 삶과 일과 쉼의 공간, 농촌을 위한 계획 1도토리 국준아
838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 시대의 농업·농촌, 새로운 가능성을 찾자 1도토리 국준아
837 성장동력산업 코로나 시대 한우산업의 명암(明暗) 1도토리 국준아
836 성장동력산업 아프리카 코로나19 백신 공급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3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8월-1) 1도토리 조정희
834 성장동력산업 2021 산림 탄소 금융 현황 1도토리 조정희
833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한 이니셔티브 - 산림 보호 정책 분야 1도토리 조정희
832 성장동력산업 기후 환경 목표 달성을 위한 그린 수소 비용 절감 1도토리 조정희
831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기후변화 저감 전략에서 자연기반해법의 도입 1도토리 조정희
830 성장동력산업 위클리 글로벌 235호(21년 08월 06일) 1도토리 조정희
829 성장동력산업 우리 사회의 공론화: 현재의 위치와 나아갈 방향은? 1도토리 조정희
828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 변경 내역(안) 1도토리 국준아
827 성장동력산업 2021년도 국가연구개발 행정제도개선(안) 3도토리 국준아
826 성장동력산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회의 운영위원회 운영세칙 개정(안) 1도토리 국준아
825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혁신에 따른 금융분야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3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편성 결과 1도토리 국준아
823 성장동력산업 지능정보사회 해외 법제 동향 Vol. 19. 3도토리 조정희
822 성장동력산업 건물 부문에서의 효과적인 탈탄소화(Decarbonisation)를 위한 난방연료의 탄소가격 산정 1도토리 조정희
821 성장동력산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세칙 일부개정(안) 1도토리 국준아
820 성장동력산업 COVID-19 상황에서의 공유 스마트 빌딩의 최적화된 에너지 및 대기 질 관리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