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플라스틱 자원순환 혁신 방안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40
용량 1.56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플라스틱 자원순환 혁신 전략.pdf 1.5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01-11 
출처 : 정부 
페이지 수 : 40 

Ⅰ. 제안 배경

 

Ⅱ. 현황 및 문제점

 1. 플라스틱 자원순환 전주기 R&D 전략 미흡

 2. 과학기술 기반의 통합적 수거/선별 체계 부재

 3. 플라스틱 전주기 통계 신뢰성 저하

 4. 기업과 대학·연구소 간 분절화된 R&D추진 및 대국민 소통 부족

 

Ⅲ. 자문안

 1. 범부처 자원순환 R&D 전략 정립

 2. 디지털 기반 수거/선별 시스템 구축

 3. 고도화된 전주기 플라스틱 정보관리체계 구축

 4. 기업과 대학·연구소 간 협력체계 마련 및 국민 소통 제고

 


 

플라스틱 자원순환 혁신 전략 - 요약본 1. 제안 배경 □ 최근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플라스틱 폐기물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실효성 있는 대응 정책 및 R&D 전략이 요구되는 상황 □ 현행의 선형경제 구조 하에 플라스틱 사용 증가는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어, 폐기물 발생 최소화를 위한 순환경제 체계로의 전환 필요 □ 자동화된 수거ㆍ선별 및 정보화 시스템을 통한 플라스틱 순환 생태계 형성과 플라스틱 저감 사회로 전환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 및 국민 소통 플랫폼 요구 2. 현황 및 문제점 □ (R&D 전략) 자원순환 전주기를 고려한 범부처 차원의 R&D 전략 및 산․학․연협력이필요하나 일부 분야에 편중되고, 지엽적․단기적으로 추진 ㅇ 일부 영역에 국한된 단편적인 R&D 추진으로 가시적 성과 파악이 어려우며 전주기를 고려한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R&D 기획 및 관리 부족 ㅇ 산·학·연 협력 부재로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의 기업지원이 미흡하고 대·중소기업간 핵심 신제품 출시 등 사업화 확장이 어려움 □ (수거/선별 시스템) 고도화된 수거·선별은 재활용 효율향상 및 고품질의 재생원료 생산으로 이루어지나, 과학기술 기반의 효율성 제고 정책 미흡 ㅇ 수거 및 선별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공공 R&D성과를 지자체와 민간에 보급ㆍ확산하는 등 정책수단의 다양화 필요 □ (정보화/통계 체계) 플라스틱 전주기 통계가 미비하고, 기존 통계의 신뢰성 저하로 자원순환 정책 수립과 활용에 어려움 존재 ㅇ 플라스틱 생산-발생-처리 전주기 통계가 연계되어있지 않으며, 사업장 폐기물의 통계 신뢰성이 낮아 정책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상황 ㅇ 물질재활용 및 에너지회수량 등 재활용 세부방법에 대한 통계가 부재하여, 관련 정책수립에 활용 시 곤란 □ (산․학․연․관 협력체계) 기업과 대학·연구소 간 R&D협력과 관련 인력 양성 및 플라스틱 자원순환 사회전반의 인식 제고 필요 - 2 - 3. 자문안 목표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플라스틱 자원순환 혁신 전략 추진 방향 ◈ 범부처 플라스틱 자원순환 R&D 체계 정립 ◈ 플라스틱 자원순환 기반 체계 구축 및 협력 강화 추진 전략  범부처 자원순환 R&D 전략 정립  디지털 기반의 수거/선별 시스템 구축  고도화된 전주기 플라스틱 정보관리체계 구축  기업과 대학·연구소간 협력체계 마련 및 국민 소통 제고  범부처 자원순환 R&D 전략 정립 ㅇ 범부처 R&D의 체계적인 기술전략 수립, 개발기술의 기획·관리 및 평가를 위한 기술분류체계 구축 ㅇ 기술분류체계 기반의 단계별 단․중장기 R&D 전략 및 18개 중점기술 제시 R&D 전략 ▪ (단기) 플라스틱 폐기물 감량 및 재활용 기술개발 (~‘25년) - (생산) 석유계 플라스틱 소재 개선, 대체 혁신소재 개발, 재생플라스틱 개선 - (소비․회수) 다회용 포장재 소재 개발 및 AI, IoT 센서 수거/분리/선별 관련 기술개발 - (자원화) 고품질 재생원료 확보를 위한 물질재활용 고도화 기술개발 - (전범주) 플라스틱 분석 방법론 개발 및 물질재활용, 에너지회수 통계 개선 ▪ (중장기) 플라스틱 기인 온실가스 최대 감축 기술개발 (~‘50년) - (생산) 친환경 설계 플라스틱 제품 상용화 및 고도화 기술개발 - (소비․회수) 다회용 플랫폼 운영 체계 구축 및 AI, IoT 센서, 로봇 기술을 활용한 수거/분리/선별 체계 구축 및 고도화 기술개발 - (자원화) 고품질 물질재활용 고도화 실증 및 재활용기술의 다변화를 통한 플라스틱 완전 순환 플랫폼 구축 - (전범주) 플라스틱 전 과정 물질흐름 정보화 및 통계 체계 구축 운영 ㅇ 플라스틱 자원순환 R&D의 유기적 연계 추진을 위한 총괄부처 및 책임연구기관 지정 등 전문적인 컨트롤타워 운영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89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혁신에 따른 금융분야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 3도토리 조정희
788 성장동력산업 2022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안) 편성 결과 1도토리 국준아
787 성장동력산업 지능정보사회 해외 법제 동향 Vol. 19. 3도토리 조정희
786 성장동력산업 건물 부문에서의 효과적인 탈탄소화(Decarbonisation)를 위한 난방연료의 탄소가격 산정 1도토리 조정희
785 성장동력산업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세칙 일부개정(안) 1도토리 국준아
784 성장동력산업 COVID-19 상황에서의 공유 스마트 빌딩의 최적화된 에너지 및 대기 질 관리 1도토리 조정희
783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자연기반솔루션(NBS)의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782 성장동력산업 바이오매스 가스화를 통한 수소 생산 1도토리 조정희
781 성장동력산업 학술정보 지원체계 개선과 오픈액세스 전환 정책(안) 3도토리 국준아
780 성장동력산업 지속적 여성 과학기술인력 육성·성장 방안 3도토리 국준아
779 성장동력산업 유럽연합 건설부문 ESCO프로젝트- 건설부문의 탈탄소화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2050 탄소중립을 위한 플라스틱 자원순환 혁신 방안 3도토리 국준아
777 성장동력산업 지구온난화 기후변화 탄소 중립에서 새로운 에너지의 역할 1도토리 조정희
776 성장동력산업 ESG 확산이 중소기업에 끼치는 영향과 지원 방향 3도토리 조정희
775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이후 주요국 고용과 경기회복 경로 1도토리 조정희
774 성장동력산업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적용제외 과제(안) 1도토리 국준아
773 성장동력산업 COVID-19 확대 후 주요 세계 안전자산의 효용성 분석 및 시사점 3도토리 조정희
772 성장동력산업 토지거래허가구역의 주요 내용 및 영향 점검 1도토리 조정희
771 성장동력산업 엑소브레인 한국어 이해-생성 언어모델 사전학습 기술 V1.0 1도토리 조정희
770 성장동력산업 테슬라 버티컬(상): 혁신의 상징 ‘테슬라 플랫폼’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