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ESG 확산이 중소기업에 끼치는 영향과 지원 방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1
용량 1.35MB 필요한 K-데이터 3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ESG 확산이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 방향.pdf 1.35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09 
출처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페이지 수 : 26 

[ 목 차 ]

 

1. ESG 개요

 

2. ESG 국내외 동향

 

3. 중소기업에 미치는 영향

 

4. 정책의 방향

 


 

┃ 요 약 n 2005년 UN 글로벌 콤팩트의 “Who Cares Wins” 컨퍼런스에서 처음으로 ESG 용어가 제시되었으며, 이어 2006년 UN책임투자원칙(UN PRI)의 출범은 전 세계 기관투자자들의 ESG 투자 확산의 계기가 됨 • 최근 환경 등 지속가능성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전 세계적 규제 도입 경향은 글로벌 금융사들의 ESG 활용을 더욱 촉진하고 있음 - 블랙록 래리핑크 회장은 2021년 초 피투자기업 CEO 대상 연례 서한에서 기후 리스크 저감을 위한 사업계획 제출을 요구하며 지속가능경영의 중요성 강조 • 즉 기업 입장에서 ESG의 확산은 지속가능경영을 촉진하는 외부자금조달 환경의 변화라고 볼 수 있음 n ESG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면 ESG 평가사의 AI 활용 등 Data Science 경쟁 가속화 경향,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글로벌 규제 확산 움직임, 그에 따른 한국에서의 ESG 주목도 상승 경향이 드러남 • AI 알고리즘으로 ESG를 분석하는 기업의 경우 기업의 자체 보고 자료의 신뢰성에 문제를 제기하며 최대한 많은 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트렌드를 주도 • 2020년 말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 이후, 유럽 중심으로 이뤄지던 기업의 지속가능경영 규제 도입이 전 세계적 움직임으로 확산하는 경향 - ESG 의무 공시를 비롯하여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성 규제에 있어서 유럽과 미국이 발맞추어 전 세계적 트렌드를 선도 • 구글 트렌드 ESG 검색량 지수를 볼 때 한국의 경우 거의 관심이 없다가 2020년 말부터 관심도가 세계적 추세와 동조화 - 즉 최근 한국의 ESG 붐은 2020년 말부터 시작된 미국과 유럽 주도의 지속가능경영 글로벌 규제 도입 압력과 맞물리는 것으로 보임 - ESG 이슈가 급격히 부상함에 따라 기업의 혼란이 가중되었고 이에 정부 주도의 ESG 표준화 및 정보공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됨 n 중소기업은 ESG에 대한 인식과 대비가 부족하여 ESG 확산에 따른 인센티브 요인보단 손실리스크의 직면이 우려되는 상황 • 국내외 대기업의 ESG 위험 관리가 공급망 전반으로 확대되는 경향에 따라 B2B 중소기업이나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ESG 성과에 따라 공급망에서 배제될 수 있는 위험에 직면 • 반면 ESG 확산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경우 글로벌 공급망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중국 기업의 자리를 한국 중소기업이 대체할 수 있는 기회요인이기도 함 n 정책 방향은 우선 단기적으로는 ESG 환경 변화 아래 중소기업을 보호하되 장기적으로는 지속가능경영 정착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고, 민간 주도 ESG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해야 할 것 • 단기적으로는 ① 가이드라인 제공, ② ESG 교육 및 인식 확대, ③ ESG 위험 발생 상황을 위한 긴급 지원 창구 마련과 같은 정책적 지원 필요 • 장기적으로는 ① 구체적 목표가 될 수 있는 벤치마크 제시, ② ESG 성과 제고를 위한 정책금융 공급, ③ ESG 데이터 관리를 위한 오픈 플랫폼 제공, ④ 대·중소 “지속가능 동반성장” 상생협력 유인 제공과 같은 정책적 지원 필요 • 공적 부문의 ESG 평가와 인증 체계는 지양하고, 민간과 기업의 전문성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지속가능경영을 선도하여 민간주도 ESG 생태계가 정착하도록 지원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820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국내외 동향분석(제2호) 3도토리 조정희
819 성장동력산업 세계 에너지 전환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로 대두된 '밭농업 기계화'의 촉진 방안 1도토리 국준아
817 성장동력산업 농정의 중심은 농산물 수급이다 1도토리 국준아
816 성장동력산업 소의 온실가스 배출 저감, 생산성 향상 담보돼야 1도토리 국준아
815 성장동력산업 중국 자동차산업의 변화와 전망 1도토리 조정희
814 성장동력산업 농촌을 청년의 꿈터·일터·삶터로 만들자 1도토리 국준아
813 성장동력산업 로컬푸드 활성화, 지자체가 나서야 1도토리 국준아
812 성장동력산업 쌀시장 안정의 전제 조건, 계절진폭 1도토리 국준아
811 성장동력산업 지방 도시, 웨이하이威海시의 투자유치 활동 1도토리 조정희
810 성장동력산업 제14차 5개년 규획 기간 중국 희토류산업의 발전 방향 1도토리 조정희
809 성장동력산업 블록체인기술 응용과 산업 발전 촉진 1도토리 조정희
808 성장동력산업 공영도매시장 관리체계 재정립돼야 1도토리 국준아
807 성장동력산업 지역 인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806 성장동력산업 독일의 에너지 전환 8차 모니터링 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05 성장동력산업 과학기반감축목표이니셔티브(SBTi) 기업매뉴얼 요약보고서 1도토리 조정희
804 성장동력산업 농촌 주거·문화·보육 여건 개선, 청년들 정착 도와야 1도토리 국준아
803 성장동력산업 농산물 가격, 보이지 않는 큰손의 영향력 1도토리 국준아
802 성장동력산업 기업체 혁신 동향 국제비교와 활성화 방향 3도토리 조정희
801 성장동력산업 청년농업인이 증가하고 있다 1도토리 국준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