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내용▶ 2021년 8월 16일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포스트코로나 시기 한국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맺고 있는 카자흐스탄과의 새로운 경제협력 방향 모색이 필요함.▶ [경제 현황] 카자흐스탄은 2000년 이후 연평균 4%를 상회하는 경제성장을 달성하였으며 주요 거시경제지표가 대체로 안정적인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장기성장 관점에서 생산성(TFP) 향상을 통한 질적 성장(qualitative growth)이 필요한 시점임.- 생산성의 성장 기여가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인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석유, 광물 등 천연자원에 대한 경제의존도를 낮추고, 중·고부가가치 제조업(mid- and high-tech manufacturing) 육성을 통한산업구조 다각화 및 고도화가 절실한 상황임.▶ [2050 전략] 카자흐스탄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경제 확대 △고급 인적 자원 육성 △경제 개방 △제도 혁신을 골자로 하는 ‘2050 전략’을 중장기 경제개혁 과제로 추진- 상기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 사업방안은 △중소기업 적극 육성 △교육·기술 투자 확대 △제조업 발전 △디지털화를 통한 조세행정 효율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음.▶ [한·카자흐 협력 방향] 카자흐스탄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양국 간 새로운 경제협력 방향을 설계한다면 협력의 효과 상승 및 지속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임.- 카자흐스탄의 경제협력 수요를 반영한 주요 사업 분야로 △디지털·보건 등의 신산업 협력 △교육(인적 자원)협력 △행정·운송 인프라 협력 등을 들 수 있음.- [신산업] 디지털·보건 등의 고부가가치 제조업 부문 협력이 유망하며, 이를 위해 △기초지식 및 적정 기술의이전과 공여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제도 교류 등의 협력 사업이 필요함.- [교육] 고급 인적 자원 육성에 도움이 되는 △전문가 및 학생 교류 제도화 △인적 자원 관리체계 노하우 공유△디지털 기반 교육인프라 확충 등의 협력사업을 발굴 및 추진해야함.- [인프라] 행정 및 운송 효율을 높이기 위해 디지털 기반 △전자정부 시스템 △국토관리 시스템 구축 관련 협력사업이 필요함.KIEP 세계경제 포커스2021.8.17.카자흐스탄 경제 분석과 한·카자흐 신경제협력 방향카자흐스탄 경제 분석과 한·카자흐 신경제협력 방향 3KIEP세계경제포커스2021.8.17.1. 경제 현황가. 최근 주요 거시경제지표■ 주요 거시경제지표상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음.- 그러나 원유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높아 국제유가가 급락한 2014~16년과 2020년 성장세가 둔화된 바있으며, 주요 소비재를 수입에 의존하므로 교역조건(terms of trade)에 따라 소비자물가 및 명목소득 변동성이 높음.1)- 2016년 이후 경제 개방에 박차를 가하면서 무역개방도2)가 높아지고 있으나, GDP 대비 순해외투자 유입은 매우 변동성이 높음(표 1 참고).- △정부 주도의 산업 육성 △복지지출 증가 △코로나19 대응 등의 요인으로 정부 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있어 재정건정성에 대한 우려가 점증하고 있음(표 1 참고).1) 카자흐스탄의 대러시아 수출, 수입은 전체 수출입 대비 각각 10%, 25% 수준에 달함.2) 무역개방도란 GDP 대비 무역총량(수출+수입)을 의미함.표 1. 카자흐스탄의 주요 거시경제지표연도항목2015 2016 2017 2018 2019 2020명목 GDP(십억 달러) 184.4 137.3 166.8 179.3 181.7 169.8실질 GDP(십억 달러) 186.3 188.3 196.0 204.1 213.3 207.7성장률(%) 1.2 1.1 4.1 4.1 4.5 -2.61인당 실질GDP(달러) 10,617 10,583 10,868 11,166 11,519 11,075성장률(%) -0.3 -0.3 2.7 2.7 3.1 -3.9총인구(백만 명) 17.5 17.8 18.0 18.3 18.5 18.815~64세 인구 비중(%) 66.5 65.8 64.9 64.1 63.5 63.0실업률(%) 5.0 5.0 4.9 4.9 4.8 6.1고정자본(% GDP) 22.9 22.7 21.7 21.2 23.5 n/a물가(CPI)상승률(%) 6.7 14.5 7.4 6.0 5.2 6.7수입(십억 달러) 45.3 39.1 40.7 46.4 51.6 n/a수출(십억 달러) 52.6 43.7 54.0 67.5 66.2 n/a(수출+수입)/GDP(%) 53.0 60.3 56.8 63.5 64.9 n/a순해외투자 유입(% GDP) 3.6 12.5 2.8 0.0 1.8 n/a외환보유고(% GDP) 27.9 29.6 30.7 31.0 29.0 35.6정부지출(% GDP) 11.6 11.6 18.4 17.3 15.9 21.0정부부채(% GDP) 19.3 16.8 n/a n/a n/a 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