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위기를 기회로,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146
용량 686.9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위기를 기회로,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pdf 686.9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8-23 
출처 : 기업 
페이지 수 :  

 유통업의 위기 진단 • 2017년부터 미국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커머스(E-commerce) 기업 들의 빠른 성장에 대응하지 못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폐점하고 파산 보호 신청에 들어가는 위기 상황 이 발생 • 유통업의 오프라인 위기는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으며, 2017년에서 2020년 사이 미국 내 1만3800 개 이상 오프라인 매장이 폐점 • 국내 유통업 또한 온라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오프라인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면 서, 온라인 점유율이 증가하는 상황 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전략 • [옴니 채널(Omni-channel)]]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채널 각각의 장점을 결합하여 소비자가 언제 어디서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품을 검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 • [인공지능(AI) 활용]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객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  결론과 시사점 • 오프라인 매장을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거나 진열하는 공간을 넘어 소비자에게 브랜드 체험과 경험을 제공하고, 방문하는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하는 공간으로 활용 •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통한 온라인 채널 구축이 필요 • 전통적인 오프라인 산업이라는 점에서 금융업과 많은 유사성을 가진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경험으로부터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 가능 월마트 클릭앤컬렉트(Click & Collect) 서비스 자료: 레이디얼(Radial) < 요 약 > 2  유통업의 위기 진단  2020년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으로 인해 유통업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 이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됨 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모바일 쇼핑 활성화와 구매 편의성 등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온 온 라인 쇼핑은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Untact) 소비 선호 현상으로 성장이 더욱 가속화됨  오프라인 매장에 익숙하던 50~60대 중장년층 또한 언택트 시대를 맞아 온라인 쇼핑에 적 응하면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소비 패턴이 빠르게 이동  코로나19로 인해 가속화되고 있긴 하지만, 유통업의 디지털 혁신은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이전부터 누적된 유통업계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결과  2017년부터 미국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이커머스(E-commerce) 기업들의 빠른 성장에 대응하지 못하고 오프라인 매장을 폐점하고 파산 보호 신청에 들어가는 위기 상황이 발생  유명 백화점 브랜드 JC페니(JCPenny), 메이시스(Macy’s)가 각각 수백 개의 오프라인 매장 을 폐점했으며, 대형 유통회사 시어스(Sears), 포에버21(Forever21) 등이 연방법원에 파산 보호를 신청하는 등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의 위기가 심화됨  이 같은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의 몰락은 아마존 중심의 미국 이커머스 시장이 디지털 혁신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 - 디지털 기술로 무장한 이커머스 기업들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이런 트렌드 변화 에 적응하지 못한 기존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은 소비자의 선택을 받지 못함 -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미국 온라인 유통시장 판매액은 연평균 약 15.0% 성장  유통업의 오프라인 위기는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미 경제 전문지 에 의하면 2017년에서 2020년 사이 미국 내 1만3800개 이상 오프라인 매장이 폐점  대형 쇼핑몰에 입점한 오프라인 중심 유통기업들이 임대료를 연체하거나 점포를 폐쇄하면서 쇼핑몰 내 공실률도 증가 - 국제쇼핑센터협의회(International Council of Shopping Centers, ICSC)에 의하면, 2020 년 2분기 미국 쇼핑몰의 임차 점유율은 약 91.9%로 최근 6년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36 성장동력산업 100년 기업 육성을 위한 일본 정부와 은행들의 노력 1도토리 조현상
735 성장동력산업 카자흐스탄 경제 분석과 한·카자흐 신경제협력 방향 1도토리 조현상
734 성장동력산업 환경관세 현실화에 따른 국내 기업의 대응 1도토리 조현상
733 성장동력산업 국내 부동산 세제와 해외 제도 비교 1도토리 조현상
732 성장동력산업 해외 금융회사의 ESG 경영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731 성장동력산업 주요국 은행권 기후변화 스트레스 테스트 본격화 1도토리 조현상
730 성장동력산업 외환: 위험회피를 가장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 원화 1도토리 조현상
729 성장동력산업 금리: 코로나19 재확산 경계 속 8월 금통위 주시 1도토리 조현상
728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미국 바이든 정부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3도토리 조현상
727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의 핵심, NFT와 가상경제 1도토리 조현상
726 성장동력산업 한국 수출의 국내외 소득탄력성 저하 요인 분석 3도토리 조현상
725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혁신과 대한민국 생산성 역설 3도토리 조현상
724 성장동력산업 DDoS 공격 대응 가이드 7도토리 조현상
723 성장동력산업 베트남 콘텐츠 산업 현황 3도토리 조현상
722 성장동력산업 미국의 경쟁정책 및 플랫폼 독점규제 입법 동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721 성장동력산업 ESG의 지배구조(Governance) 개선과 기업가치 1도토리 조현상
720 성장동력산업 도시의 주간의 열적 쾌적함과 야간의 냉각현상을 조절하는 탄소중립 설계 도구 1도토리 조현상
719 성장동력산업 풍화된 플라스틱의 노출, 거동, 위해성 1도토리 조현상
718 성장동력산업 해외ICT 표준화 동향 정보(2021년 8월 셋째주) 1도토리 조현상
717 성장동력산업 최근 미국경제의 성장둔화 우려에 대한 평가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