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과 지원정책의 효과 관계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50
용량 684.96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인공지능 기술과 지원정책의 효과 관계 분석.pdf 684.96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21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요 약
■ AI는 예측력이 뛰어나 공공부문의 다양한 영역에서 강력한 혁신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 우리나라
에서는 정책목표에 부합하는 대상 선별 및 사후관리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국내에서 최근 등장하고 있는 AI 활용 공공서비스는 주로 단순반복 업무를 기술적으로 대체하는 수준에서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음.
 주요국은 AI를 이용한 정책 정보 분석을 통해 효과적으로 정책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정책대상을 선별
하고 있으며, 사후관리 등에도 AI를 활용하고 있음.
 기존의 정책 성과관리가 결과를 확인하는 사후평가에 그쳤다면, AI의 도입은 정책의 효과를 사전적으로
예측한 정보를 활용하는 등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 방식으로의 전환을 의미
■ 우리나라 중소기업 지원정책의 지원대상 선별에 AI를 적용한 결과, AI는 지원 이후의 성과 예측에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지원의 효과가 낮은 대상을 분별하는 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지원의 효과성을 크게 제고할
수 있음을 확인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비용을 지원하거나 융자를 제공하는 중소벤처기업부의 다양한 자금 지원사업에
기업 정보를 활용하여 머신러닝을 적용한 결과, 지원 이후의 성장 예측에 유용한 것을 확인
 이를 지원효과가 높은 대상을 분별하는 데 활용할 경우 사업의 효과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
■ 설문조사 결과, 공공부문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기반 정책체계로의 전환을 가로막는 요인으로는 1) 정책
정보의 표준화 및 부처 간 연계 미비, 2) 공공부문의 기술 활용 전문성 부족 등이 지적되고 있음.
■ 공공부문의 데이터 기반 정책체계로의 전환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여 교육, 의료, 치안, 국방, 기업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정책 효과성 향상을 국가적 차원에서 모색해야 함.
 공공부문 각 분야에서 AI 도입 시 해당 기관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설계할 수 있으며, 지원수단에
는 시스템, 데이터 플랫폼, 보안, 조직 컨설팅, 교육 등을 포함할 수 있음.
 세부 전략으로는 1) 데이터 관리체계 일원화, 2) 정책 정보의 효율적 교류를 위한 정부 업무체계 정비,
3) 신뢰 기반 공공-민간 파트너십 구축이 요구됨.
 정책의 수립, 집행, 평가 체계 전반을 점검하여 AI가 정책 의사결정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부분을
명확히 인식하고, 사업목적의 명확한 설정, 데이터의 선별 및 연계, 시스템의 구축 및 보안성 확보, 투명
한 운영방식 마련 등 데이터 기반 정책수립을 위한 단계별 전략을 수립할 필요

 

화면 캡처 2023-03-02 160602.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04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언어모델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04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양자내성암호로의 마이그레이션 동향 5도토리 노민우
504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지식재산권 이슈 분석 9도토리 노민우
504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의 경제 현황 및 정책 분석 9도토리 노민우
5044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미국 반도체법 보조금 지원 방안 주요 내용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04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3월 둘째주 워싱턴 이슈 분석 5도토리 노민우
504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3월 산업기술 이슈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04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NFT 산업 전략 분석 3도토리 노민우
504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프랑스 정보통신기술 시장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03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미국 OTT 해외진출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038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동향 7도토리 노민우
503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위해 기후금융 발전 과제에 대한 분석 7도토리 노민우
503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이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파키스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터키 (튀르키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러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뉴질랜드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페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3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아르헨티나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2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브라질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