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시각 비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나혜선 조회수 149
용량 1.01MB 필요한 K-데이터 9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동향]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시각 비교.pdf 1.01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1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67 

- 차례 - 

 

요약 
Ⅰ. 문제 제기 


Ⅱ. 안보 차원의 방어적 공격 전쟁 
1. 전쟁의 촉발 원인
2. 러시아의 안보 불안 호소에 대한 논쟁 
3. 러시아가 주장하는 세 가지 서방 발(發) 안보 불안 요인 


Ⅲ. 세력권 주장 전쟁 
1. 러시아의 강대국 지위 회복 욕망 
2. 러시아의 제국주의적 팽창주의 속성 논쟁 
3. 푸틴의 ‘소련 부활 목표’ 진위와 러시아의 세력권 주장의 성격 


Ⅳ. 신유라시아주의의 제국주의 영토 정복 전쟁 
1. 슬라브주의에서 유라시아주의까지: 반서구주의 사조의 유산 
2. 유라시아주의 담론 부활: 1990년대부터 초기 푸티니즘까지 
3. 후기 푸티니즘과 신유라시아주의 관계 논란 


Ⅵ. 결론 


 

- 요약 - 

2022년 2월 24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전면 침공으로 시작된 우크라이나 전쟁이 11개월을 넘기면서 전 세계적 안보 지형 및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금번 전쟁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발발한 전쟁 가운데 내전을 제외하고 국가 대 국가 간 전쟁으로는 가장 많은 사상자를 내고 있는 전쟁으로 기록되며 출구를 찾지 못한 채 장기화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의 발발 원인과 성격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논쟁이 있고, 서방 학자들 사이에서도 서로 다른 관점들이 부딪히기도한다. 이번 전쟁의 배경에는 오랜 역사 속의 수많은 인과관계적 사건들이복잡하게 얽혀 있고 그 성격도 매우 복합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금번 전쟁이 소련 해체 후 30여 년의 러시아와 서방 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그리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국내 정치의 총합적인 결과물과 같은 것으로도 볼 수 있어, 한 가지 측면으로만 해석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일례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을 결심하게 된 배경 가운데 하나로 바이든(Joe Biden) 정부를 촉발 요인으로 꼽는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상반된시각들이 존재한다. 일각에서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더라도 미국은 개입하지 않겠다고 미리 공언한 바이든 정부의 약한 리더십과 나토의 부실해진 역량을 러시아가 만만하게 보고 전쟁 도발을 감행했다는 견해가 있는 반면, 2021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나토 및 우크라이나와의 군사협력 강화 속도및 규모에 압박과 위기를 느낀 러시아가 전쟁을 감행했다는완전히 상반된 시각도 있다.

 

러시아가 이번 우크라이나 전쟁을 언제 결정했는지에 대해서도 동 전쟁이 푸틴(Vladimir Putin)의 ‘소련 제국 복원’과 같은 장기 계획 프로젝트하에 준비되었다는 분석이 있는 반면, 2021~2022년 초 러시아와 나토 간 그리고 돈바스 내 긴장이 고조되는 과정에서 푸틴과 군부가 상황에 대응하면서 결정을 내린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502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멕시코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2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필리핀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2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인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25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말레이시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강정훈
5024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베트남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23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태국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22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대만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21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중국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2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일본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1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유럽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18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캐나다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17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2022년 미국 바이오의약품 글로벌 진출 전략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16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미국, 유럽의 바이오 의약품 인허가 절차 분석 9도토리 나혜선
501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챗 GPT 관련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01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 산업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0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EU 역외 보조금 규제 분석 7도토리 김민성
501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중국의 에너지절약, 저탄소 제품 인증 제도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01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수출제한 기술 목록에 대한 분석 5도토리 김민성
5010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동향] 23년 EU 주요 환경규제와 대응전략 5도토리 김민성
500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023년 2월 소프트웨어 중심 이슈 분석 9도토리 김민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