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질화갈륨 기반 장치의 신뢰성 및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결함과 표면에 대한 연구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15
용량 631.81K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질화갈륨 기반 장치의 신뢰성 및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결함과 표면에 대한 연구.pdf 631.81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16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0 

요약문

 

질화갈륨(GaN)은 기존의 실리콘 기반 장치에 비해 높은 밴드갭, 항복전압, 열전도성 등 다양한 장 점이 있는 재료이다. 이 재료는 전력장치 분야에서 유망한 후보 재료 중 하나이다. 이번 리포트에 서는 질화갈륨 기반 장치의 신뢰성 및 물성에 영향을 끼치는 결함과 표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성 과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1. 개요

 

오늘날 사회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답의 필수적인 부분은 디지털화와 관련된 근본적 인 핵심기술이다. 이 디지털 변환의 핵심 요소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광대역 셀룰러 네트워크(예: 5G) 및 데이터 플랫폼에 사용되는 전자부품 및 시스템이다. 이러한 핵심 요소는 시스템 디지털 화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효율적인 전기에너지는 이를 구동하는 필수 자원이다. 예 를 들어 900TWh 의 전기에너지가 2012 년의 인터넷을 보급하는 데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고[1] , 전 기에너지의 효율이 1% 늘어나면 4, 5 megaton 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기에 에너지관 리 측면에서 에너지 효율성 향상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효율성 향상은 재생에너지 및 모빌리티를 위한 에너지전환에도 큰 가치가 있으며, 더 나아가 질화갈륨 기반 반도체(GaN)는 실리콘(Si) 기반 반도체가 한계에 도달할 때마다 더 높은 주파수와 높은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는 유망한 후보이 다. 최근 유럽의 몇몇 질화갈륨 재료 관련 과제에서는 질화갈륨 장치를 사용하여 보다 효율적이 고 콤팩트한 기기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있음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높은 전기장, 더 높은 전류밀도, 더 높은 전력밀도와 같은 목표를 위해 차세대 GaN-on-Silicon 기술 세대를 위한 비용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데 명확한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화면 캡처 2023-02-23 155007.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96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데이터 및 흐름의 가치 측정 분석 7도토리 나혜선
496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마이데이터를 위한 오픈 API 플랫폼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96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웹 3.0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과 시맨틱 웹 3도토리 강정훈
4965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베트남 빈패스트의 전기차 사업 3도토리 강정훈
496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대만 Foxconn, 전기차 위탁생산 시작 3도토리 강정훈
4963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자동차 산업 2023년 전망 3도토리 강정훈
4962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아시안 지역 자동차 시장 동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강정훈
496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by-Wire 시스템의 전망 3도토리 강정훈
4960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차량데이터 관련 미국, EU 법제 동향 1도토리 강정훈
495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인도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OLA electric 3도토리 강정훈
495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2년 전기차 판매 실적 분석 3도토리 강정훈
4957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3년 2월 4주차 글로벌 나노기술 주간 동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95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경기 변화에 따른 주요 건설자재 수요 변화 분석 9도토리 강정훈
495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리튬배터리 시장 및 공급망 동향 7도토리 노민우
495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 반도체 관련 수출 전망 7도토리 노민우
495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미국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기업의 대응 7도토리 노민우
495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소중립 선언에 따른 베트남 에너지 전환 정책 분석 5도토리 노민우
495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우크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국가들간의 관계 동향 5도토리 노민우
495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조선업 22년 동향 및 23년 전망 분석 7도토리 노민우
4949 성장동력산업 [산업동향] 22년 4분기 수출 평가 및 23년 1분기 동향 7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