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뉴로모픽 차세대 기술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144
용량 3.27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뉴로모픽 차세대 기술 동향.pdf 3.27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2-1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12 

- 개요-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다양한 기술 간 융합을 통한 초연결 지능화 혁명이라 할 수 있으며, 지난 수십년 동안 반도체 소재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 기술의 지속적인 혁신이 주요 동인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ICT 기술 발전을 이루었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기존의 반도체 소자 기반의 시스템으로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록 정보 처리를 위한 시간과 에너지의 양이 급격하게 늘어나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인간 뇌의 효율적인 정보 처리 및 학습/추론 메커니즘을 모사한 뉴로모픽 기술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 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 및 시스템에 관한 연구 동향 및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서론 -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의 급속한 발전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였으며, 이는 농업 사회, 산업 사회 이후 정보 사회로의 전환에 주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최근에는 더욱 발전하여 사물인터넷(IoT), 만물인터넷(IoE)으로의 확장 그리고 초연결 사회로 진화하고 있다. 이는 다양한 정보를 입력, 저장, 연산, 출력, 통신까지 처리하는 전자 기기들의 비약적인 발전과 그 기기들의 지능화에 기인하는데, 그 핵심 요소는 반도체 소자 시스템 기술의 발전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반도체 소자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정보의 입력/출력, 연산 등의 처리 기술은 폰 노이만 구조를 따르고 있다. 이는 데이터의 정확한 수치적 표현을 전송 하고 수정하도록 최적화되어 있지만, 중앙처리장치는 메모리에서 가져온 데이터와 명령에 의해 순차적으로 작동, 다양한 정보들의 병렬 처리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보의 양이 늘어 날수록 병목(bottleneck) 현상이 발생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화면 캡처 2023-02-23 13260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896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저전력 지능형 반도체 시장 동향 5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뉴로모픽 차세대 기술 동향 5도토리 조정희
489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하이브리드 모델링 프레임워크 기술에 대한 분석 5도토리 조정희
4893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국내 3년간 D,N,A 분야 기업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9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중심 AI 거버넌스 분석_2 9도토리 정한솔
489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가 중심 AI 전략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90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랫폼 서비스를 위한 AI 가상비서 서비스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8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테크 기업 M&A 현황 및 시사점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8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플랫폼 정부에 대한 분석 7도토리 정한솔
488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플폼정부 기반 기술에 대한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8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AI 거버넌스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8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합성데이터에 대한 분석 7도토리 정한솔
488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주요국 인공지능 전략에 대한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8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현대 인공지능 관련 사건 및 변화 분석 7도토리 정한솔
4882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3년 12개 디지털 트렌드 전망 7도토리 정한솔
488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유럽 데이터스페이스 동향 및 시사점 분석 7도토리 정한솔
488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빅테크의 금융리스크 분석 9도토리 정한솔
4879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대한 분석 7도토리 정한솔
487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2022년 하반기 수입규제 동향 9도토리 정한솔
487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스마트팩토리 시장동향 7도토리 정한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