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85
용량 4.84M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pdf 4.8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2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우리나라는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을 시작으로 적극적인 FTA 정책을 실시해왔으며 2020년 6월까지 총 56개국과 16건의 FTA를 발효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무역량은 2000년대 이후 빠른 속도로 성장해왔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에 중요한 원동력이 되었다.

   FTA 정책이 우리나라 전체 경제성장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되었지만 그 성과가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동반성장한 결과인지 아니면 소수의 대기업들이 주도한 성과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실증분석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연구 공백을 메우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FTA 정책이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 활동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효과가 기업 특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함으로써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친 영향은 이론적으로 그 방향을 특정하기가 불분명하다. 우선 고용 측면에서 FTA로 인한 시장의 개방은 중소기업과 같이 비교적 규모가 작은 기업에게 해외 진출 및 성장의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고용 및 실질임금 증가의 가능성을 높이기도 하지만, 수입경쟁을 심화시킴으로써 중소기업의 고용과 실질임금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기업의 혁신 측면에서도 시장개방이 중소기업의 국내외 경쟁을 촉진시키고 해외 시장에 대한 문턱을 낮춤으로써 혁신 활동에 대한 유인을 높일 수 있지만 반대로 시장개방으로 인한 경쟁 심화가 기업의 이윤율 둔화로 이어져 중소기업의 투자 여력을 감소시킨다면 오히려 중소기업의 혁신 성과가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수준의 미시자료를 활용하여 2000년대 이후 FTA가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제2장에서는 2003~18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제조업 중소기업의 고용 현황을 기업 규모 및 산업별로 살펴보고 광업제조업조사를 패널데이터화하여 FTA 정책이 수출입 채널을 통해 중소기업의 고용과 실질임금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어서 제3장에서는 R&D 투자와 특허등록 건수를 중심으로 2003~18년 기간 동안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이 어떻게 변해왔는지 살펴보고, KED의 기업패널자료와 WITS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의 수출입관세율 자료를 활용해서 FTA를 통한 개방이 중소기업 혁신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앞선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는 ①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 활동에 초점을 맞춰서 장기간에 걸친 FTA 효과를 추정했다는 점 ② FTA로 인한 수출확대효과(혹은 해외시장 개방효과)와 수입경쟁심화효과(혹은 국내시장 개방효과)를 동시에 분석했다는 점 ③ 전수 혹은 상당히 많은 표본 수를 갖고 있는 기업 수준의 패널데이터를 주요 분석 자료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주요한 차별성을 갖는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08 성장동력산업 위기를 기회로, 유통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1도토리 조현상
707 성장동력산업 유해사이트 목록 자동업데이트 기술 1도토리 조현상
706 성장동력산업 대만 반도체 전략의 주요 내용 및 전망 51도토리 조현상
705 성장동력산업 테슬라 버티컬(하): 모빌리티 왕국 꿈꾸는 테슬라 1도토리 조현상
704 성장동력산업 두개골용 개인 맞춤형 골 이식재 제작을 위한 세라믹 3D프린팅 기술 1도토리 조현상
703 성장동력산업 2021년 ICT분야 벤처캐피탈(VC) 투자동향 보고서 1도토리 조현상
702 성장동력산업 베트남의 지원산업(Supporting Indsutry)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701 성장동력산업 일본 3대 중공업업체, 코로나 및 탈이산화탄소 파고의 대응에 부심 1도토리 조현상
700 성장동력산업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회의로 본 2021년 하반기 중국 경제정책의 향방 1도토리 조현상
699 성장동력산업 조선의 철강재 위기, 미래를 내다본 전략적 협력 필요 1도토리 조현상
698 성장동력산업 EU 핏포55(Fit for 55)가 국내 탄소중립 정책에 주는 시사점 51도토리 조현상
697 성장동력산업 해외ICT표준화동향정보(2021년 8월 넷째주) 1도토리 조현상
696 성장동력산업 美 바이든 대통령, 미국 전기자동차 리더십 확보를 위한 조치 발표 1도토리 조현상
695 성장동력산업 플라스틱 오염 저감을 위한 시나리오 1도토리 조현상
694 성장동력산업 북한 경제체제 연구 7도토리 조현상
693 성장동력산업 카자흐스탄 지속 가능한 스마트 도심 개발 정책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92 성장동력산업 실감콘텐츠 글로벌 동향분석(제4호) 1도토리 조현상
691 성장동력산업 유럽 연구혁신 위원회 전략계획 2020-2024 1도토리 조현상
690 성장동력산업 美의 아프가니스탄 철군에 대한 인접국의 대응과 전망 3도토리 조현상
689 성장동력산업 기조적 물가지표 점검 1도토리 조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