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3
용량 410.34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pdf 410.34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6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중국 회사채 디폴트(채무불이행)가 2020년 하반기부터 민영기업에서 국유기업 중심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가운데, 올해 들어 대형 부동산 개발기업들의 신용 위험까지 더해지면서 채권시장 불안이 가중□ 2020년 하반기 이후 코로나19에서 정상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당국이 국유기업에 대한 디폴트 용인 정책 스탠스로 선회하면서 회사채 디폴트가 확대됨□ 또한 중국 채권시장의 점진적인 개방 및 효율적인 채권시장 구축과 투명성 개선을 위해 부실 국유기업을 포함한 기업들의 채권 디폴트를 용인□ 한편,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강화되면서 역외시장에서도 대형 부동산 기업들의 달러채 신용 위험이 부각□ 하반기에도 부동산, 공급과잉 업종의 민영기업과 부실 국유기업을 중심으로 디폴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제어 가능한 수준이며, 국유기업에 대한 지원은 선별적으로 진행□ 중국 회사채 디폴트(채무불이행)가 2020년 하반기부터 민영기업에서 국유기업 중심으로 확대되기시작한 가운데, 올해 들어 대형 부동산 개발기업들의 신용 위험까지 더해지면서 채권시장 불안이가중─ 2020년 중국 역내 회사채 디폴트 규모는 전년대비 47% 증가한 2,220억위안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2021년에는 7월말 기준 1,150억위안의 디폴트가 발생─ 2014년 중국의 첫 회사채 디폴트 발생 이후 회사채 디폴트는 민영기업 위주로 발생하였지만2020년 하반기부터 국유기업 비중이 크게 확대• 2014~2019년 국유기업 디폴트 비중은 21.4%에서 2020년 이후 48.6%까지 상승• 2020년 하반기부터 칭화유니그룹(Tsinghua Unigroup), 화천자동차(Huachen Auto), 융청석탄(Yongcheng Coal), 허난에너지(Henan Coal Chemical Industry Group), 하이난항공(HNA Group) 등의 대형 국유기업 회사채 디폴트가 이어짐─ 또한 부동산 개발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로 2021년 상반기 부동산 업종 디폴트율은 평균회사채 디폴트율인 0.5%를 크게 상회한 1.8%를 기록• 올해 들어 화샤싱푸(China Fortune Land Development), 쓰촨란광(Sichuan Languang)등 대형 부동산 개발기업의 디폴트가 발생2ZOOM-IN 자본시장포커스• 부동산 관련 기업은 올해 상반기 디폴트의 약 25.7%를 차지했으며 역내 및 역외 채권에서76억달러의 미납금이 발생1)<그림 1> 중국 역내 회사채 디폴트 규모 <그림 2> 부동산 개발기업 디폴트 규모자료: J.P.Morgan 자료: Sinolink Securities□ 2020년 하반기 이후 코로나19에서 정상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중국당국이 국유기업에 대한 디폴트 용인 정책 스탠스로 선회하면서 회사채 디폴트가 확대됨─ 2018~2019년 기간 동안의 회사채 디폴트 증가는 기업의 과도한 레버리지에 대한 중국당국의디레버리징과 금융리스크 방지 정책 및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기업들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기인• 2015~2016년 완화된 통화정책하에서 기업들은 저금리 채권 혹은 대출을 통해 사업을 확장해왔으며 주요 사업분야 뿐만 아니라 부동산, 금융업무 등으로 확대• 2017년 금융 디레버리징 정책 시행 및 통화 긴축정책하에서 기업의 신규 채권 발행을 통한차환방식에 제약을 가져옴• 특히 자산관리 규제안이 통과된 이후 은행 등 금융기관의 그림자금융 감소를 위한 부외자산축소가 지방정부와 민영기업의 자금조달 압력으로 작용하면서 전통산업 공급과잉 업종을중심으로 디폴트가 발생─ 2020년은 코로나19로 지방정부 재정이 악화되고 지방정부의 자금지원 규모 여력 제한으로 국유기업에 대한 정부의 암묵적 지원 기조가 변화• 최근 몇 년간 국유기업들은 과도한 투자로 부채가 증가하고 영업이익률이 하락하는 가운데2020년 코로나19로부터 정상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긴축정책 실시 및 대량의 국유기업 채무 만기가 도래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1 성장동력산업 테슬라도 눈 돌린 우주산업 - 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1도토리 조정희
710 성장동력산업 심방세동 감지를 위한 초소형 고성능 에너지 효율형 인공지능 칩 1도토리 조정희
709 성장동력산업 집단 드론을 활용한 산업용 플랜트 누출 감지 1도토리 조정희
708 성장동력산업 뇌종양 치료를 돕는 혁신적인 신약 전달 시스템 1도토리 조정희
707 성장동력산업 유럽 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706 성장동력산업 원자재가격 및 해운운임 상승의 수출기업 체감 영향 1도토리 조정희
705 성장동력산업 2021년 랜섬웨어 스페셜 리포트 7도토리 조정희
704 성장동력산업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조정희
703 성장동력산업 첨단 배송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1도토리 조정희
702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첫째주) 1도토리 조정희
701 성장동력산업 소비자가 본 ESG와 친환경 소비 행동 3도토리 조정희
700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고탄소배출 업종 비중 추정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699 성장동력산업 공적기금 자산배분체계에서 레퍼런스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98 성장동력산업 국내 장외주식시장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96 성장동력산업 국내 상장기업의 공시위반 및 제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95 성장동력산업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94 성장동력산업 미국 환경 보호청 고형 폐기물 관리 지침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693 성장동력산업 베트남의 희토류 자원 개발현황 1도토리 조정희
692 성장동력산업 탄소제로배출 기술, 수소 연소 엔진(H2-ICE)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