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정희 조회수 39
용량 408.48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pdf 408.48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06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개요2020년 호주의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풍력과 지붕형 태양광 발전을 중심으로급속한 발전이 이뤄지고 있으며, 배터리 저장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사용 전환이 더욱더 가속화되고 있다. 호주는 청정에너지 초강대국을 목표로 지난5년간 큰 노력을 기울여왔다. 2016년 국가 전체 전력에서 신재생 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17%였고, 대부분 뉴 사우스 웨일스와 태즈매니아의 오랜 수력 시스템으로부터 발전되었다. 2020년 기준 호주 전력의 27%는 풍력과 지붕형 태양광 발전이 선도하며 신재생 에너지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호주는 이제 대규모 전력시스템을 통해 더 저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를 청정하게 공급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좋은 소식은 이러한 청정에너지로의 변화 속도가 앞으로도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기술도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다양한기반 시설 확충과 배터리 활용 설비에 대한 투자 발표들이 잇따르고 있으며, 특히재생 가능한 수소 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러한 성과대부분은 주 정부의 세계 최고 수준의 재생 에너지 정책 및 지원을 통해 실행되고있다. 그러나 주 정부의 진보적인 에너지 정책과 연방 정부와의 갈등은 현재 진행중이다. 연방 정부 차원의 신 재생 에너지 정책은 기존 연료 (가스와 석탄)에 대한정책과 일부 상충하는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청정에너지 산업은2020년 기준으로 25,000명 이상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며 긍정적인 부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엄청난 잠재력을 바탕으로 산업이 계속 성장하기 위해서는극복해야 할 과제도 많다. 우선, 업계에서 진행 중인 전력망 연결과 전송 문제는그동안 재생 에너지를 계속해서 괴롭혀온 부문이다. 2020년 연구 과제 개발자들과시장 참여 기관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약간의 진전을 이루었다. 이러한 과제를해결하는 데 단기간에 훨씬 더 많은 노동력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함께 인식했다.많은 호주인에게 코로나 19로 2020년은 힘든 해였지만, 재생 에너지 산업은 호주에게 희망을 계속 주었다. 호주의 또 다른 위대한 도전 과제인 기후 변화에 대한대응을 위해 지난 5년간의 발전을 기반으로 청정에너지 산업의 길고 긴 여정은 이제 시작일 뿐이다.호주 신재생 에너지 정책 동향코로나 19 범유행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호주 재생 에너지 산업은 주 및 연방 정부로부터 지원 증가로 2020년에도 기록 경신은 계속됐다. 국가 전체 전력의 4분의1 이상이 처음으로 재생 에너지로부터 공급받았기 때문이다. 호주의 재생 에너지발전량은 2020년 전체 발전량의 27.7%로 2019년 대비 3.7% 증가했다. 이러한증가 대부분은 3GW 이상의 새로운 소규모 태양광 발전 부문에서 이바지했다. 호주의 태양광 발전은 전체 재생 에너지의 23.5%로 수력 발전 다음으로 높다. 2020년 대규모 연구 과제의 경우, 약 2GW의 새로운 용량으로 이뤄진 32개 연구 과제가 완료되었다. 이 연구 과제의 대부분은 대규모 893MW급 태양광 발전소이다. 풍력 발전량은 대부분의 새로운 발전소에서 2020년에 총 1,097MW가 추가 증설되었다. 이것은 2019년 837MW 기록을 넘어선 수치이다.2020년 말까지 추가로 76개의 대규모 풍력 발전과 태양광 발전소 연구 과제가건설 중이다. 규모는 8GW 이상으로 새로운 용량으로 9,000명 이상의 호주인 고용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호주의 대규모 재생 에너지 산업은 국가와주 정부가 주도하고 정부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관련 업계에 지원을 약속했다.뉴 사우스 웨일스(NSW) 주 정부의 재생 에너지 전력 개발 기반시설 단계별 이행안이 가장 대표적인 정책이다. 3개의 재생 에너지 구역에 걸쳐 12GW급의 새로운전력선을 건설하는 데 지원하고 있다. 태즈매니아는 호주에서 중요한 상징적인 재생 에너지 대표 지역이다. 2020년 호주에서 최초로 100% 전력을 모두 재생 에너지로부터 얻어서 사용하게 되었다. 또한, 태즈메이니아주 정부는 2040년까지 전력의 200%를 재생 에너지로 생산하는 목표를 세웠다. 이러한 목표는 전 세계적으로도 가장 도전적이고 야심 찬 목표이다. 남호주(SA) 주는 2020년 10월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한 시간 동안 태양광으로부터 100% 전력이 발전되었을 때 남호주주의 어디서든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 세계의 첫 번째 태양광 발전 전력 주가탄생한 것이다. 2020년 COVID-19 대유행하면서 즉각적인 보건 위기와 함께, 경제 회복에 초점을 맞춰 비슷한 시기에 호주 정부는 1000MW급 가스 화력 발전소를 뉴 사우스 웨일스(NSW)에 새로 건설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탄소 배출량 감소에 대한 압박이 커지자 2020년 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등 호주의 주요 무역 동반자들은 2050년까지 순 제로 배출 목표 (Net Zero Emission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711 성장동력산업 테슬라도 눈 돌린 우주산업 - 민간 주도 뉴 스페이스 1도토리 조정희
710 성장동력산업 심방세동 감지를 위한 초소형 고성능 에너지 효율형 인공지능 칩 1도토리 조정희
709 성장동력산업 집단 드론을 활용한 산업용 플랜트 누출 감지 1도토리 조정희
708 성장동력산업 뇌종양 치료를 돕는 혁신적인 신약 전달 시스템 1도토리 조정희
707 성장동력산업 유럽 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동향 1도토리 조정희
706 성장동력산업 원자재가격 및 해운운임 상승의 수출기업 체감 영향 1도토리 조정희
705 성장동력산업 2021년 랜섬웨어 스페셜 리포트 7도토리 조정희
704 성장동력산업 FTA가 중소기업의 고용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1도토리 조정희
703 성장동력산업 첨단 배송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1도토리 조정희
702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첫째주) 1도토리 조정희
701 성장동력산업 소비자가 본 ESG와 친환경 소비 행동 3도토리 조정희
700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고탄소배출 업종 비중 추정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699 성장동력산업 공적기금 자산배분체계에서 레퍼런스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98 성장동력산업 국내 장외주식시장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1도토리 조정희
697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96 성장동력산업 국내 상장기업의 공시위반 및 제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 성장동력산업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94 성장동력산업 미국 환경 보호청 고형 폐기물 관리 지침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693 성장동력산업 베트남의 희토류 자원 개발현황 1도토리 조정희
692 성장동력산업 탄소제로배출 기술, 수소 연소 엔진(H2-ICE)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