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유인 및 고용 기여 효과 확인
분류 생명공학/바이오 판매자 이상연 조회수 45
용량 47.5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211207)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유인 및 고용 기여 효과 확인.hwp 47.5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12-07 
출처 : 정책산하기관 
페이지 수 :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유인 및 고용 기여 효과 확인

- 보건산업분야 정부 R&D 투자 확대에 대한 정당성 마련 -

 

▪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가 기업의 자체 R&D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crowding-in effect)를 보여 정부 R&D 투자의 기업 연구개발 활동에 있어 마중물 역할

- 정부 R&D 투자 1억 원을 지원받은 보건산업 분야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4년 간(당해 연도~3개년도 이후) 약 223백만 원을 자체 R&D에 더 투자하고 있음

▪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가 기업의 고용자(피보험자) 수와 총인건비 증가에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정부 R&D 투자 1억 원을 지원받은 보건산업 주요 분야 업종 기업은 그렇지 못한 기업보다 4년 간(당해 연도~3개년도 이후) 약 2.52명의 고용자를 더 채용하였으며, 약 105백만 원의 인건비를 더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NTIS 정부 R&D 과제정보,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DB, 한국기업데이터 기업 재무정보 및 국세청 기업 상태 정보 연계 분석을 통한 분석 결과로 신뢰성 제고

 

□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권순만, 이하 진흥원) 보건산업정책연구센터는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 효과 분석 연구(연구책임자 한경주 박사)’ 보고서 발간을 통해 향후 지속적인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 확대에 대한 정당성 확보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 이번 연구는 정부 R&D 투자에 대한 경제·사회적 미충족 수요나 이슈 해결을 위한 책무성이 강화되고 있고, 코로나-19 팬데믹 등을 경험하면서 보건산업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 제고와 성장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수행되었다.

 

 

□ R&D 투자 등을 통한 정부의 개입(interventions)은 시장 실패(market failure) 방지, 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 그리고 신산업분야의 혁신 방향을 설정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특히 보건산업 분야는 대표적인 과학기술 지식기반 산업으로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연구개발 투자가 전략적 자원(과학기술 지식) 확보를 통한 경쟁력 확보가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 과학기술 지식의 공공재적 특성에 따른 무임승차(free-riders) 만연에 대한 우려와 장기간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불확실성과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기업이 연구개발 활동에 과소 투자할 가능성이 있다.

 

 

○ 따라서, 이로 인해 시장 실패(market failure) 우려가 있거나 경쟁 우위 역량 확보(securing competitive advantage)를 위해서는 R&D 투자 등을 통한 정부의 개입을 통해서라도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 유인이 필요하다 하겠다.

 

 

□ 연구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하고 정부 R&D 투자에 대한 정책의 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이번 연구는 성향점수매칭방법(PSM)과 이중차분법(DID)을 적용하였고, 여러 곳에 산재해 있는 이질적인 데이터*를 연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 NTIS 정부 R&D 과제정보, 고용노동부 고용보험 DB, 한국기업데이터 기업 재무정보 및 국세청 기업 상태 정보

 

□ 이번 연구의 첫 번째 주요 성과는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가 기업의 자체 R&D 투자를 유인하는 효과(crowding-in effect)와 고용자(피보험자) 수와 총 인건비 지출 증가에 정(+)의 효과가 도출됨에 따라 향후 바이오헬스분야 정부 R&D 투자 확대를 위한 정당성을 마련했다는데 있다.

 

 

○ 또한, 보다 엄밀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 결과 도출을 위해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해 선택편의(selection bias)를 제거하였으며, 정부 R&D 투자에 대한 순효과 분석을 위해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적용 후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 둘째는 같은 보건산업 분야 업종 기업이라 할지라도 세부 업종에 따라 정부 R&D 투자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에 따라 이러한 특성을 고려한 R&D 투자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다.

 

○ 한 예로 의약품 제조업 분야 기업은 정부 R&D 투자 이후 자체 R&D 투자의 유인 효과가 시간 흐름에 따라 점점 증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의료기기 제조업의 경우 유인 효과가 시간 흐름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어,

 

○ 의약품 제조업 분야 기업의 정부 R&D 지원은 상대적으로 장기로, 반대로 의료기기 제조업 분야 기업은 상대적으로 단기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효율적인 투자 전략으로 판단된다.

 

□ 셋째는 보건산업 분야 정부 R&D 투자가 일부 업종과 연도에서 기업의 영업이익에 대해서는 부(-)의 효과를 보이고 있는데,

 

○ 이는 정부 R&D투자에 따른 기업 투자의 유인효과(R&D·고용 기여 효과)가 기업에게 비용으로 반영된 점

 

○ 그리고 수집 데이터의 한계로 인해 투자에 대한 회수가 이뤄지는 시점까지 장기적인 효과를 분석하지 못한 것을 원인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 회수 시점까지 보건산업 분야 기업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데, 이는 정부 R&D 투자에 따라 유인된 기업의 추가적인 투자 수요에 대한 위험을 분담(risk sharing) 해주기 위해 정부 R&D 지원 이후 초기 사업화를 위한 지원 확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참고) 보건복지부·진흥원은 ‘바이오헬스 투자인프라 연계형 R&D 사업’을 통해 초기 사업화 기업에 소규모 지원 시작(‘20-’21년 총 12개 기업)

 

□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증거기반 정책(evidence-based policy)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장기적 관점에서의 종적연구(longitudinal analysis) 수행에 필요한 보건산업 분야 업종별 기업에 대한 조사 패널 구축으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자료 수집이 필요하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29 성장동력산업 인터넷서비스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8 성장동력산업 빅데이터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7 성장동력산업 미국 거시경제 여건 변화와 정책 대응 1도토리 이상연
26 생명공학/바이오 헬스케어 시장동향 보고서 3도토리 이상연
25 성장동력산업 기업의 트랜스포메이션의 롤모델, 네덜란드 기업 Philips 1도토리 이상연
24 성장동력산업 향후 10년 미래변화를 이끌 혁신기술 동향 분석 1도토리 이상연
23 성장동력산업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정책 1도토리 이상연
22 성장동력산업 미국 경제 및 인플레이션 향방과 연준의 대응 1도토리 이상연
21 생명공학/바이오 2022년 보험산업 전망 7도토리 이상연
20 생명공학/바이오 농촌, 희망의 길을 걸어가다: 2021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정책 우수사례집 7도토리 이상연
19 생명공학/바이오 캐나다 인삼 산업 동향과 시사점 7도토리 이상연
18 생명공학/바이오 디지털 시대 농산물 유통, 경쟁이 답이다 1도토리 이상연
17 성장동력산업 바이오산업 생산(38.2%) 및 수출(53.1%) 역대 최대 증가 1도토리 이상연
16 성장동력산업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착수 1도토리 이상연
15 성장동력산업 2021년 11월 자동차산업 동향 1도토리 이상연
14 성장동력산업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첫 지정 1도토리 이상연
13 성장동력산업 산업부, ’22년 자동차 예산 4,709억원으로 대폭 확대 1도토리 이상연
12 성장동력산업 정보통신기술(ICT) 수출, 역대 최고 월 수출액 달성 1도토리 이상연
11 성장동력산업 연간 수출액 역대 최고치 경신 1도토리 이상연
10 성장동력산업 산업‧에너지 탄소중립 대전환 비전과 전략 1도토리 이상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