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혈액응고시간분석기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38
용량 1.49MB 필요한 K-데이터 5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혈액응고시간분석기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 분석.pdf 1.49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1-05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49 

- 목차 - 

1. 제품의 개요

1.1 정의 및 구성

1.2 개발 현황

 

2. 적용 범위

 

3. 시험 적용 규격

3.1 안전성 평가 적용 규격

3.2 성능 평가 적용 규격

 

4.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 항목

4.1 안전성 평가 시험 항목

4.2 성능 평가 시험 항목

 

5.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 방법

5.1 안전성 평가 시험 방법

5.2 성능평가 시험 방법

 

6. 안전성 및 성능 평가 시험 항목 요약


 

1-1 정의 및 구성

1) 혈우병(hemophilia) : X 염색체에 위치한 유전자의 돌연변이로 인해 혈액 내 응고인자가 부족하게 되 어 발생하는 출혈성 질환

2) 자반병(purpura) : 전신의 피하나 점막에 출혈이 일어나서 자색의 작은 반점[紫斑]이 생기는 병

 

혈액 응고 검사는 출혈 질환에 대한 선별 검사로, 혈소판과 응고인자 중 어느 것에 양 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문제가 있는지 선별하는 검사이다. 혈액 응고 검사 항목으로 는 출혈 시간(BT, bleeding time), 프로트롬빈 시간(PT, prothrombin time), 활 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activated partial tromboplastin time)이 있다. 출혈 시간은 피하혈관에서 약 5mm정도의 길이에 1mm 정도의 깊이로 절한 한 후 출혈이 멈출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고, 프로트롬빈 시간은 혈장에 트롬보플라 스틴(tissue thromboplastin), 인지질(phospholipids), 칼슘이온을 첨가한 후 응 고가 생길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활성화 부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은 혈장에 표면활성제(surface activator: kaloin, ellagic acid, celite 등), 인지질 (phospholipids), 칼슘이온을 첨가 후 응고가 생길 때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혈액응고시간분석기는 환자의 혈액을 채취한 후 장비 내에 삽입하여 혈액의 응고시간 을 측정하고 혈액응고인자들의 활동을 분석하는 장비로써, 프로트롬빈 시간, 활성화 부 분트롬보플라스틴 시간 등을 측정하여 혈우병 , 자반병 , 혈소판 증가증, 혈소판 무력 증 등의 다양한 출혈 진환들을 진단한다.

혈액응고시간분석기는 측정 및 검사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뉘며 [표 1]에 나 타내었다. 헌혈원, 대형 병원 등에서 검사하는 방식인 임상 지원 검사실(Central Lab) 방식과 현장검사 또는 환자가 집에서 스스로 검사/관리 하는 등 다양한 장소에서 검 사하는 방식인 환자 자가 검사(PST, Patient Self-testing) & 환자 자가 관리(PMS, Patient Self-management)가 있다.

화면 캡처 2023-01-31 163736.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608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 _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의료용 레이저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방사선 진단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 TMS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TOC 측정기 및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공업용 순수 생산 핵심소재/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6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질소산화물 센서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VOCs 저감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60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출력•고효율 태양전지 셀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분야_ 태양전지용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459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태양전지용 CVD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전해용 차세대 핵심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소충전소 핵심 부품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건물용 연료전지 MEA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연료전지용 열교환기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2차전지 음극용 인조흑연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산화알류미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45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효율 헤파필터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RF Beamforming 용 저전력 PIM 반도체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8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대용량•초고속 광송신 및 수신부품(LD,PD)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