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산업분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백신 개발 동향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47
용량 1.66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산업분석]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RSA) 백신 개발 동향.pdf 1.66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7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82 

- 목차  -

 

제1장 항생제 내성균 현황

1. 서론

1.1. 항생제 내성균의 정의

1.2. 항생제 내성 획득 기전

 

2. 항생제 내성균의 특성

2.1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2.2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2.3 마크로라이드 내성 폐렴알균

2.4 ESBL 생성 폐렴간균과 대장균

2.5 다제내성 녹농균

2.6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균

2.7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제2장 항생제 내성균 발생 현황

1. 국내 항생제 내성균 발생 현황

1.1. 국내 발생 항생제 내성균 지정감염병 종류

1.2. 주요 균종별 내성률

1.3. 발생 현황

 

2. 국내외 항생제 내성균 발생 동향 분석

2.1 항생제 내성균 발생 동향 분석

2.2 국가간 균종별 항생제 내성률 비교

 

3. MRSA 국외 발생 현황

3.1 북미

3.2 중남미

3.3 아시아

3.4 오세아니아 ·

3.5 유럽

3.6 아프리카

 

제3장 MRSA 백신의 개발 현황

1. 서론

1.1. MRSA균

 

2. MRSA 백신의 개발 현황

2.1 백신 개발 전략 및 개발의 난점

2.2 국내 MRSA 백신 개발 동향

2.3 국외 MRSA 백신 개발 동향

 

3. MRSA 백신의 기술 추이

3.1 MRSA 백신의 기술 추이

3.2 비임상/임상시험에 적용된 MRSA 백신의 항원

3.3 MRSA 백신의 상용화가 어려운 주된 이유

 

4. MRSA 백신의 주요 항원 선정시 고려 사항

4.1 백신 항원의 조건

4.2 숙주의 면역 유도 능력 등 분석

4.3 백신 개발에 유용한 항원

4.4 백신 개발에 유용한 면역증강제(adjuvant)

 

5. MRSA 백신 개발 고려 사항

5.1 S.aureus 독소 중화를 목적으로 한 백신 개발 

5.2 복합 항원 백신의 개발

5.3 제조 관련 고려 사항

5.4 비임상시험시 고려 사항

5.5 임상시험시 고려 사항


 

제1장 항생제 내성균 현황

1. 서론

1.1 항생제 내성균의 정의

∙ 항생제 내성은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항생제에 저항하여 생존할 수 있는 약물 저항성을 의미함. 이는 항생제의 공격에 살아남기 위한 세균의 생존 전략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일부 내성유전자는 수평적 전달이 가능하여 다른 균으로 이동하여 내성을 전파하기도 함[1]

∙ 항생제 내성균이란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보유하게 되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약제 내성균을 의미함[2]

∙ 질병의 빈도가 높은 세균의 유전적 변이(돌연변이)를 통해 항생제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더 강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결국 어떤 강력한 항생제에도 저항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생겨 이를 슈퍼박테리아(super bacteria)라고 함[3]

∙ 항생제 내성균이 생기는 이유는 특히 저개발국가에서 감염성 질환에 대한 항생제 남용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하며, 예로 약을 먹다가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거나 하면 남아있는 세균이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내성균이 발생하게 됨

 

화면 캡처 2023-01-31 160921.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608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 _ 바이오의약품 정제용 크로마토그래피 레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7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의료용 레이저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6 생명공학/바이오 [시장분석] 바이오 분야_ 방사선 진단 장치 시장 분석 5도토리 강정훈
460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 TMS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TOC 측정기 및 부품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공업용 순수 생산 핵심소재/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60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질소산화물 센서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60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VOCs 저감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60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출력•고효율 태양전지 셀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분야_ 태양전지용 소재 시장분석 11도토리 강정훈
459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태양전지용 CVD 장치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7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전해용 차세대 핵심소재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수소충전소 핵심 부품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건물용 연료전지 MEA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연료전지용 열교환기 시장분석 9도토리 강정훈
4593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2차전지 음극용 인조흑연 시장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산화알류미늄 시장분석 5도토리 강정훈
4591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그린에너지 분야_ 고효율 헤파필터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9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RF Beamforming 용 저전력 PIM 반도체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
4589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비대면디지털 분야_ 대용량•초고속 광송신 및 수신부품(LD,PD) 시장 분석 7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