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한계기업 현황과 지원기준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89
용량 666.2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한계기업 현황과 지원기준.pdf 666.2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4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각국 정부의 과도한 유동성 공급 이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던 한계기업이 더욱 증가하였다. 백신 개발 이후 침체된 경제가 회복국면에 접어들고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부채로 지탱하고 있는 한계기업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2020년 상장제조업 기준 한계기업은 15.63%로 앞으로 더 증가할 것이 예상되며 장기적으로 생산성이 낮은 한계기업은 퇴출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단기에 대량 퇴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단기에 많은 기업이 도산하게 되면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 효과가 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기업의 대량도산을 방지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특히, 코로나 상황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상장기업인 한계기업이 담당하는 생산, 고용 등의 비중이나 영향력을 고려하면 한계기업 퇴출 논의는 좀 더 조심스럽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금리상승기에 한계기업이 얼마나 증가할 것인가를 예측하고 증가할 한계기업의 정상화 지원을 위해서는 객관적인 선별 기준이 필요하나 실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의 하나로 활용할 수 있는 한계기업 전환 결정요인과 한계기업 탈출 결정요인 추정을 위한 실증분석기법을 소개한다. 일반적으로는 정책담당자가 한계기업을 지원하는 것에 정당성을 찾기 어려우나 코로나19 경제위기와 같이 경제 외적요인에 의한 도산위험 증가는 선별을 통한 지원으로 그 시기를 늦추어 정상화할 수 있는 기업은 가능한 정상화할 수 있도록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계기업 전환확률과 탈출확률 분석결과를 기업 선별 지원의 한 평가요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실증분석에서 도출한 추정치와 기업자료를 활용하여 한계기업이 될 확률과 한계기업이 정상기업으로 전환할 확률을 계산하여 정책담당자가 기업구조조정 관련 결정을 위한 평가의 한 요소로 활용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60 성장동력산업 첨단 배송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1도토리 조정희
659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첫째주) 1도토리 조정희
658 성장동력산업 소비자가 본 ESG와 친환경 소비 행동 3도토리 조정희
657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고탄소배출 업종 비중 추정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656 성장동력산업 공적기금 자산배분체계에서 레퍼런스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55 성장동력산업 국내 장외주식시장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1도토리 조정희
654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53 성장동력산업 국내 상장기업의 공시위반 및 제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52 성장동력산업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51 성장동력산업 미국 환경 보호청 고형 폐기물 관리 지침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650 성장동력산업 베트남의 희토류 자원 개발현황 1도토리 조정희
649 성장동력산업 탄소제로배출 기술, 수소 연소 엔진(H2-ICE) 1도토리 조정희
648 성장동력산업 자본시장 제도동향 2021년 9월호 1도토리 조정희
647 성장동력산업 EU 첨단소재 R&D 정책 및 동향 3도토리 조정희
64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가치창출 7도토리 조정희
645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를 감안한 우리경제의 잠재성장률 재추정 1도토리 조정희
644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식취득거래의 경영권 프리미엄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43 성장동력산업 국내 금융회사의 하이브리드워크 도입 과제 1도토리 조정희
642 성장동력산업 은행 점포 폐쇄 대안으로 등장한 공동점포 1도토리 조정희
641 성장동력산업 보험시장,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빅테크 기업이 선도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