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정책분석] 주요 국가의 SBOM 정책 트렌드 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강정훈 조회수 136
용량 1.3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정책분석] 주요 국가의 SBOM 정책 트렌드 분석.pdf 1.3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2-12-29 
출처 : 국책연구원 
페이지 수 : 34 

< 목 차 >

 

Ⅰ. SW공급망 투명성 확보 수단, SBOM

 

Ⅱ. 주요국 정책 동향 
1. 일본
2. EU
3. 영국
4. 중국
5. 네덜란드

Ⅲ. 요약 및 시사점 

 


 

주요 국가 정부는 SW공급망 투명성 확보 수단 중 하나로 SW제품 내의 구성요소 정보를 기술한 문서, SBOM(Software Bill of Materials)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공개SW를 비롯한 SW재사용 확산과 함께 신뢰 기반으로 형성된 SW공급망으로 국가 안보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위협이 증가하고 있음에 기인한다. 디지털 가속화와 함께 신기술의 빠른 도입 수단으로 SW재사용이 전 산업에 걸쳐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되는 만큼 관련된 위협 관리도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과제임을 뜻한다. 일본 정부는 경제산업성 내에 소프트웨어TF를 설치하고 의료·자동차·SW 분야에 걸친 SBOM 실증을 통해 개념 정립, 효과성 검증,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ICT 사이버보안 종합대책 2022을 통해 ICT 분야로 확대될 전망이다. EU는 공개SW 공급망 관리 측면에서 EU-FOSSA, FOSSEPS 등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유럽 공공에서의 SW인벤토리를 구축·관리하고자 하고, D-SBOM과 같은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SBOM 원천기술 확보 및 실증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기기·IoT 보안 가이드 제시를 통해 SBOM 활용을 권고하고 있으며, 클라우드·의료기기 인증을 비롯해 디지털 요소를 포함한 제품에 SBOM을 적용하는 입법 추진을 통해 제도화 기반 마련 중에 있다. ICT 분야 보안에 관심이 높은 영국도 통신망 서비스 공급망 보안 강화를 위해, 보안 지침에 SBOM과 유사한 기준을 적용하였다. 중국은 SW공급망 보안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SBOM을 검토하는 협력체계 3S-LAB을 구성하였고, CAICT를 중심으로 SBOM 관련 백서 및 가이드를 발간해 활용 확산을 위한 저변을 확대하였다. 네덜란드는 주요 국가에서 추진하고 있는 SBOM 정책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효과적인 SBOM 도입 방안을 마련하였다. SW공급망 투명성 확보를 위해 SBOM 관련한 백서·가이드 배포, 실증 추진, 제도화 방안 마련 등의 글로벌 동향이 확인되고 있다. 국내 SW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SBOM을 인식하고 기업에서는 생산·유통·활용 측면에서의 SBOM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정부의 지원 정책도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준비될 필요가 있다.

화면 캡처 2023-01-10 135557.jp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52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동남아시아 국가별 에너지 라벨링 제도 5도토리 정한솔
4527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세계 최대 IT 박람회로 살펴본 기술 동향 5도토리 정한솔
452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 분야 시장 환경, 이슈 분석 및 투자 전략 5도토리 정한솔
4525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은행 관련 실적 개선 지속될 전망 및 투자의견 5도토리 정한솔
4524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2023년에 주목해야 할 기술 9도토리 정한솔
4523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통신서비스 22년 4분기 실적 분석 3도토리 정한솔
4522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의 국내 자동차업계에 대한 영향 및 시사점 3도토리 강정훈
452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자동차 사이버보안 국제 기준 수립 현황 및 시사점 3도토리 강정훈
4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대학의 반도체 인재양성 과련 정책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에너지 안보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원자력산업의 역할 변화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5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산업 경쟁력 재고 방법 3도토리 강정훈
4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8-22년도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에 대한 쟁점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고유가에 따른 물가 대응 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3년 국회입법조사처 이슈 9도토리 강정훈
4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 및 위험 원인과 정책 과제 5도토리 강정훈
4513 성장동력산업 [계획공고] 2023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 5도토리 강정훈
4512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1 성장동력산업 [지원공고] 2023년도 우수기업연구소육성사업 신규지원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0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디자인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09 성장동력산업 [사업분석] 기업별 22년 4분기 분석 및 23년 전망 5도토리 강정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