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동향분석] 인터넷, 게임분야 동향분석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국준아 조회수 116
용량 3.54MB 필요한 K-데이터 7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동향분석] 인터넷, 게임분야 동향분석.pdf 3.54M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3-01-10 
출처 : 증권사 
페이지 수 : 66 

 4분기 인터넷/게임 업체들의 실적은 대체로 시장 기대치 하회  그러나 주가는 이와 별개로 움직이는 상황  플랫폼의 경우 글로벌 피어에 의한 주가 상승 압력 강한 상황. 파도를 이용할 때  게임은 PC/콘솔 신시장 진출에 더해 달라진 중국 환경으로 실적 바닥이 상향되는 시기. 신작 비수기를 매수 기회로 이용할 때  플랫폼은 밸류에이션 상향, 게임은 추가 투자포인트 발생. 업종의견 overweight 상향 Overweight (상향) 관심종목 종목 투자판단 적정주가 NAVER(035420) Buy 230,000원 카카오(035720) Buy 72,000원 아프리카TV(067160) Buy 110,000원 NHN(181710) Hold 27,000원 엔씨소프트(036570) Buy 560,000원 펄어비스(263750) Buy 78,000원 넷마블(251270) Buy 63,000원 네오위즈(095660) Hold 42,000원 크래프톤(259960) Hold 190,000원 카카오게임즈(293490) Hold 45,000원 [플랫폼] 실적 말고 밸류에이션 지난 11월 이후 네이버/카카오 주가의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다. 기업의 적정가치 가 예상 이익과 멀티플의 함수라고 볼 때 최근의 현상은 멀티플 영향이 컸다. 특 히 중국 정부의 플랫폼 규제 완화로 peer valuation 바닥권에 위치한 중국 업체의 주가 상승이 가팔랐다. 반면 메타를 제외하면 미국 플랫폼 업체들은 밋밋한 흐름 을 보였고, 한국 플랫폼 사업자는 이들의 그 중간 형태를 띠었다. 미국의 추가 하락이 없다면, 오는 3월 양회 이전까지는 중국 플랫폼 추가 규제 완 화 기대가 주가 상승 압력을 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를 통한 국내 플랫폼 업체 의 직/간접적 수혜는 전무하나 평균 밸류에이션 상향에 따른 주가 상승은 기대할 수 있는 구간이다. 실적 반등의 여지에 매여 있기 보다는 peer valuation 상향이라 는 파도를 이용하는 전략이 현실적인 시기로 판단된다. [게임] 신작 출시 비수기를 이용하는 방법 국내 게임사 주가는 신작 출시가 부재한 12월에 접어들며 다소 부진한 흐름이 이 어지고 있다. 12월 중국 외자 판호가 발급되며 한국 업체도 수혜가 있었으나 오랜 기간 학습된 중국 규제의 변동성으로 인해 주가는 이를 크게 반영하지 않고 있다. 당사는 1) 중국 정부의 플랫폼 고용 촉진 의도, 2) 중국 내 배기 정책의 필요성, 3) 그간 강화된 중국 게임 산업의 경쟁력, 그리고 4) 오는 9월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근거하여 중국의 완화된 정책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최근 PC/콘솔 시장의 메기는 마이크로소프트다. 액티비전 블리자드를 인수하며 시 장의 큰 변화가 예상된 바 있으나 반독점 조사가 길어지며 변화가 늦춰지고 있다. 당사는 최종적 합병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올 여름 흥행을 활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가 ‘게임패스’를 글로벌 영역으로 확대하며 PC/콘 솔 라이브 서비스 중심의 클라우드 게이밍이 주목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 2023년 PC/콘솔이라는 신규 플랫폼 진출이 본격화되며 국내 업체들의 시장이 확 대되는 기존 투자 포인트는 유지한 채 동력을 잃었던 모바일 게임이 중국 변화로 인해 하락 완화, 혹은 상승 전환이 점쳐지는 상황이다. 신작 비수기를 매수 기회로 이용할 시기다. 게임 산업에 대한 긍정적 의견을 유지한다

8캡처.PNG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4520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대학의 반도체 인재양성 과련 정책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9 생명공학/바이오 [산업분석] 에너지 안보 및 탄소 중립을 위한 원자력산업의 역할 변화 동향 3도토리 강정훈
4518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반도체 산업 경쟁력 재고 방법 3도토리 강정훈
451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18-22년도 방위산업발전 기본계획에 대한 쟁점 및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6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고유가에 따른 물가 대응 정책 동향 및 향후 과제 3도토리 강정훈
4515 성장동력산업 [시장동향] 2023년 국회입법조사처 이슈 9도토리 강정훈
4514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최근 부동산시장 동향 및 위험 원인과 정책 과제 5도토리 강정훈
4513 성장동력산업 [계획공고] 2023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통합 시행계획 공고 5도토리 강정훈
4512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이종기술융합형) 신규지원 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1 성장동력산업 [지원공고] 2023년도 우수기업연구소육성사업 신규지원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10 성장동력산업 [과제공고] 2023년도 디자인산업기술개발사업 신규지원대상과제 공고 3도토리 강정훈
4509 성장동력산업 [사업분석] 기업별 22년 4분기 분석 및 23년 전망 5도토리 강정훈
4508 성장동력산업 [시장분석] 아시아 국가별 추천종목 및 시장지표 3도토리 강정훈
4507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선업용 고온 히트 펌프 기술동향 및 산업 전망 3도토리 노민우
4506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이머징 미디어로서의 메타버스 및 디자인 3도토리 노민우
4505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탄성소재 산업 현황 밒 개발 현황 3도토리 노민우
4504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스마트팜에서 인공지능 이용 분석 및 전망 3도토리 이지훈
4503 성장동력산업 [기술분석] 프리폼 텍스트 데이터의 개인정보 비식별화 기술 분석 3도토리 이지훈
4502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 및 발전방향 1도토리 노민우
4501 성장동력산업 [산업분석] 빅데이터 분석 운영 환경 조사 3도토리 노민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