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96
용량 927.9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pdf 927.9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일본 증권업계는 주식시장의 활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외적ㆍ대내적 요인이 혼재된 가운데 대형증권사는 증권토큰발행(Security Token Offering, 이하STO)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일본 증권사의 영업수익은 2020년 4.1조엔으로 작년보다 소폭 상승하였으나 2019년까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었음•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의 고조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수익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증권업에서는 주식 및 펀드 판매 수수료 무료화를 내건 인터넷 증권사와 기존 증권사 간 경쟁이더욱 과열되고 있음─ 비즈니스 확대 및 추가적인 비용 절감이라는 양면적 과제를 맞이한 상황 속에 최근 일본 증권업계는 STO를 통해 기존 사업과 연관된 새로운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2ZOOM􏘚IN 자본시장포커스<그림 1> 일본 증권회사의 수익 추이주 : 영업수익은 수수료수익(위탁수수료+인수ㆍ매출수수료+모집ㆍ매출수수료+기타수수료), 트레이딩손익, 금융수익의 합계자료 : 일본 증권업협회□ 증권토큰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토큰형태의 디지털 증권으로 소유권자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있으며 토큰화를 통해 유동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증권토큰은 금융상품 또는 기타 자산을 분산원장기술 기반의 암호화된 토큰형태로 디지털화한증권임1)─ 증권토큰의 장점은 블록체인에서 매매 등의 계약 조건을 미리 프로그램화하고 조건을 만족하는경우에만 자동으로 거래가 집행되는 방식(스마트 컨트랙트)으로 발행ㆍ유통 과정이 단순화되고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개별 거래의 중개ㆍ감사 관리자가 불필요해져, 24시간 및 365일 거래가 가능하고 시간과 관계없이 국경 간 거래도 할 수 있어 기존의 시장장벽을 제거할 수 있음─ 토큰이라는 형태를 이용하여, 부동산과 같이 물리적으로 나눌 수 없는 자산의 소유권을 세분화하여 거래할 수 있으므로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증권화가 어려웠던 자산ㆍ프로젝트 등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부문 등)을 담보로 한 다양한 상품도 개발할 수 있음─ 또한 토큰은 증권사에서 발행ㆍ유통되어 ICO에서 발생한 사기사건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자자보호를 제도화하여 투자를 통한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2019년 5월, 2020년 5월 두 번에 걸쳐 관련 규제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토큰의 성격에 따라 지급결제 토큰은 자금결제법, 증권토큰 발행은 금융상품거래법을 적용하여 제도권에 진입시킴─ 2019년 개정시 투자대상인 측면을 고려해 가상통화라는 명칭을 암호자산으로 변경하였으며 암호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 거래와 현물거래도 규제 대상에 포함시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60 성장동력산업 첨단 배송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 1도토리 조정희
659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첫째주) 1도토리 조정희
658 성장동력산업 소비자가 본 ESG와 친환경 소비 행동 3도토리 조정희
657 성장동력산업 지역별 고탄소배출 업종 비중 추정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3도토리 조정희
656 성장동력산업 공적기금 자산배분체계에서 레퍼런스포트폴리오의 의미와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55 성장동력산업 국내 장외주식시장 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과제 1도토리 조정희
654 성장동력산업 최근 중국의 회사채 디폴트 현황과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53 성장동력산업 국내 상장기업의 공시위반 및 제재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52 성장동력산업 호주 신재생에너지 기술별 산업 정책 동향 및 시장 전망 1도토리 조정희
651 성장동력산업 미국 환경 보호청 고형 폐기물 관리 지침 동향 및 사례 연구 1도토리 조정희
650 성장동력산업 베트남의 희토류 자원 개발현황 1도토리 조정희
649 성장동력산업 탄소제로배출 기술, 수소 연소 엔진(H2-ICE) 1도토리 조정희
648 성장동력산업 자본시장 제도동향 2021년 9월호 1도토리 조정희
647 성장동력산업 EU 첨단소재 R&D 정책 및 동향 3도토리 조정희
646 성장동력산업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가치창출 7도토리 조정희
645 성장동력산업 코로나19를 감안한 우리경제의 잠재성장률 재추정 1도토리 조정희
644 성장동력산업 중소기업 주식취득거래의 경영권 프리미엄 현황 및 시사점 1도토리 조정희
643 성장동력산업 국내 금융회사의 하이브리드워크 도입 과제 1도토리 조정희
642 성장동력산업 은행 점포 폐쇄 대안으로 등장한 공동점포 1도토리 조정희
641 성장동력산업 보험시장, 빅데이터 분석 기반 빅테크 기업이 선도 1도토리 조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