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
분류 성장동력산업 판매자 조현상 조회수 96
용량 927.97KB 필요한 K-데이터 1도토리
파일 이름 용량 잔여일 잔여횟수 상태 다운로드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pdf 927.97KB - - - 다운로드
데이터날짜 : 2021-09-27 
출처 : 정부산하기관 
페이지 수 :  

□ 일본 증권업계는 주식시장의 활황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은 크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으며, 대외적ㆍ대내적 요인이 혼재된 가운데 대형증권사는 증권토큰발행(Security Token Offering, 이하STO)을 통해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음─ 일본 증권사의 영업수익은 2020년 4.1조엔으로 작년보다 소폭 상승하였으나 2019년까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었음• 미중 무역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의 고조와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시장 환경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수익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 증권업에서는 주식 및 펀드 판매 수수료 무료화를 내건 인터넷 증권사와 기존 증권사 간 경쟁이더욱 과열되고 있음─ 비즈니스 확대 및 추가적인 비용 절감이라는 양면적 과제를 맞이한 상황 속에 최근 일본 증권업계는 STO를 통해 기존 사업과 연관된 새로운 사업영역을 확장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음2ZOOM􏘚IN 자본시장포커스<그림 1> 일본 증권회사의 수익 추이주 : 영업수익은 수수료수익(위탁수수료+인수ㆍ매출수수료+모집ㆍ매출수수료+기타수수료), 트레이딩손익, 금융수익의 합계자료 : 일본 증권업협회□ 증권토큰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토큰형태의 디지털 증권으로 소유권자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있으며 토큰화를 통해 유동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음─ 증권토큰은 금융상품 또는 기타 자산을 분산원장기술 기반의 암호화된 토큰형태로 디지털화한증권임1)─ 증권토큰의 장점은 블록체인에서 매매 등의 계약 조건을 미리 프로그램화하고 조건을 만족하는경우에만 자동으로 거래가 집행되는 방식(스마트 컨트랙트)으로 발행ㆍ유통 과정이 단순화되고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 개별 거래의 중개ㆍ감사 관리자가 불필요해져, 24시간 및 365일 거래가 가능하고 시간과 관계없이 국경 간 거래도 할 수 있어 기존의 시장장벽을 제거할 수 있음─ 토큰이라는 형태를 이용하여, 부동산과 같이 물리적으로 나눌 수 없는 자산의 소유권을 세분화하여 거래할 수 있으므로 비용대비 효과 측면에서 증권화가 어려웠던 자산ㆍ프로젝트 등 (부동산, 엔터테인먼트 부문 등)을 담보로 한 다양한 상품도 개발할 수 있음─ 또한 토큰은 증권사에서 발행ㆍ유통되어 ICO에서 발생한 사기사건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자자보호를 제도화하여 투자를 통한 시장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음□ 2019년 5월, 2020년 5월 두 번에 걸쳐 관련 규제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토큰의 성격에 따라 지급결제 토큰은 자금결제법, 증권토큰 발행은 금융상품거래법을 적용하여 제도권에 진입시킴─ 2019년 개정시 투자대상인 측면을 고려해 가상통화라는 명칭을 암호자산으로 변경하였으며 암호자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 거래와 현물거래도 규제 대상에 포함시킴



※ 본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각 저작물의 저작권은 자료제공사에 있으며 각 저작물의 견해와 DATA 365와는 견해가 다를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K-데이터 판매자
K데이터 무통장 입금을 통한 충전 방법
620 성장동력산업 글로벌 희토류산업 환경변화와 일본의 대응전략 1도토리 조현상
619 성장동력산업 중국의 제조장비산업 육성정책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18 성장동력산업 한계기업 현황과 지원기준 1도토리 조현상
617 성장동력산업 해운·조선산업의 규제변화에 따른 폐선(廢船) 시장의 영향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16 성장동력산업 전기차, 자율차시대의 자동차산업 통계분류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1도토리 조현상
615 성장동력산업 해외 ICT 표준화 동향 (2021년 9월 넷째주) 1도토리 조현상
614 성장동력산업 경기회복 시 교통 부문을 통한 친환경 도시 만들기 1도토리 조현상
613 성장동력산업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정보화 방안(Digital Product passport 중심으로) 1도토리 조현상
612 성장동력산업 한국판 뉴딜의 역사적 의미와 성공조건 1도토리 조현상
611 성장동력산업 ESG로 촉발된 순환경제 재조명, 기회와 한계 1도토리 조현상
610 성장동력산업 쿠키없는 세상, 디지털 광고 생태계의 변화 1도토리 조현상
609 성장동력산업 기후변화 리스크, 국가간·지역간 차별화 가능성 1도토리 조현상
608 성장동력산업 부동산: 규제 완화 기대감은 여전 1도토리 조현상
607 성장동력산업 외환: 헝다 그룹 사태로 강달러 압력 부각 1도토리 조현상
606 성장동력산업 금리: 주요국의 긴축 행보로 상승 압력 확대 1도토리 조현상
605 성장동력산업 상장기업의 임원보수와 미등기 지배주주 이슈 3도토리 조현상
604 성장동력산업 ESG 평가 격차와 지배구조 평가 이슈 1도토리 조현상
603 성장동력산업 SPAC 시장의 건전한 발전 방향에 대한 소고 1도토리 조현상
» 성장동력산업 일본의 증권토큰발행(STO) 현황과 시사점 1도토리 조현상
601 성장동력산업 메타버스 관련 국내외 금융업의 현황과 이슈 1도토리 조현상